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년연장에 따른 노동법상의 쟁점과 과제 (Issue and Problems in Labor Law regarding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4.03
25P 미리보기
정년연장에 따른 노동법상의 쟁점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관계연구 / 24권 / 1호 / 21 ~ 45페이지
    · 저자명 : 이정

    초록

    작년 4월에 국회 본회의에서 소위 ‘법정 정년 60세’를 규정한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법에 관한 법률’(이하 ‘고령자법’)이 통과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정년 60세 시대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철저한 준비를 거쳐 점진적으로 정년을 연장해 온 외국과는 달리, 아무런 준비 없이 전격적인 정치적 타협으로 정년법제를 도입한 만큼, 60세 정년제가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선결과제들이 다방면에 산적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노동법상의 쟁점과 문제에 포커스를 맞춘 다음, 문제제기를 하는 차원에서 몇 가지 논점에 대해 검토를 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정한 연령에 달하면 일률적으로 퇴직을 하게하는 소위 강제퇴직제를 두고 있는데, 이러한 제도가 과연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에 검토한 다음, 선진 외국에서는 정년에 대해 어떻게 규제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정년연장에 따른 주요 법적 쟁점에 대해 살펴본 다음, 이에 대한 개선책을 시론으로 제시하였다. 본고의 결론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법적 연구로부터는 미국이나 영국처럼 일률적 정년제를 연령차별로 보아 이를 폐지하는 것은 다소 시기상조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임금체계가 연공급적인 성격이 강하게 남아 있고 고령자 개인의 능력이나 적격성 등을 평가하여 퇴직자를 선별하는 것보다는 연령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공정하다는 노사 간 인식에 비추어 볼 때, 당분간은 정년제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둘째, 60세 정년제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고령자의 고용형태 및 근로조건을 유연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년연장에 따른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고려하여 임금피크제를 비롯하여, 퇴직금 중산청산, 자회사 등과 같은 관련기업으로의 배치전환, 시간선택제의 등의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용형태 및 근로조건에 있어 유연성을 추구하다보면 자칫 고령근로자들의 삶의 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고용형태의 변경이나 근로시간단축 등으로 인하여 감소되는 소득분에 대해서는 이를 보상하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 아울러 고령근로자들에게 적합한 직무 및 직종을 개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직업훈련을 통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With inauguration of the new Korean government,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has become an ever-growing key policy in Korea. Whe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aging population, it inevitably needs measures for the soft landing of the retirement age of 60. However, as we can see from the Japanese experience to increase the retirement age from 60 to 65, imposing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n only employers might lead to erode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y, and to erupt the gulf between the generations surrounding jobs for young people as well. Thus, a more careful approach is needed to deal with this issue. In particular, unlike Japan, although Korean companies set the retirement age for their workers in the collective agreement or employment rule, the companies are failing to keep the retirement age. Even though 65 year-old retirement age rules will be introduced, there is some question as to how effective the rule will be. Therefore, we should let the Japanese experiences be a good lesson to Korean society in order to establish the reasonable and effective system.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egal issue and problems with regard to 60 year-old retirement age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law. The main arguments are as follows:First, to settle the 60 year-old retirement age system, it necessitates operating the older worker’s employment form and working condition flexibly. More specifically, when considering the employer’s circumstances so as to ease financial burdens, it is imperative to actively employ the systems such as wage-peak system, interim payment of retirement, job displacement to an affiliated company, and flexible work schedule.
    Second, since when seeking the flexibility in the employment form and working condition, there are concerns of decreasing the older worker’s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needs to build the system that can compensate the reduction in income due to the change of employment pattern and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job duties and occupations that are suitable for the older workers. In some cases, it also requires supporting the older workers to accommodate to new environments through vocational training.
    Lastly, when it comes to the speed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the legislation of 60 year-old retirements is timely.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US, UK, Germany, France, and Japan, however, Korean society enacted the law without the systematic and delicate preparations towards the extension of retirement age. Therefore,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and tasks to be dealt with.
    There are only two years before taking effect the retirement age of 60. Of course, during the two years, it is urgent to create legal supplements regarding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s. Moreover,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rther aging population and the prolonged life expectancy, we are required to prepare beforehand for the 65 year-old retirement age and over. In order to cope effectively with the period of longevity of a hundred years, increasing retirement age is not an option but an obli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