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시조에 형상화된 여성상과 그 변용 (A Female Image Reflected in an gosijo and Its Transform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9.01
24P 미리보기
고시조에 형상화된 여성상과 그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50호 / 39 ~ 62페이지
    · 저자명 : 고승관

    초록

    이 연구는 고시조에 나타난 여성상의 전형(典型)을 세 가지로 특징지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시조에 형상화된 여성상의 문학사적(文學史的) 함의(含意)를 시대적 변용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유가적(儒家的) 이념을 실천하는 여성상과 인륜세정(人倫世情)의 확산이다. 이현보(李賢輔)의 어머니 권씨(權氏)의 시조에서는 자식의 교육이라는 가치를 생활화하는 여성상의 일면을 볼 수 있었고, 노진(盧禛)의 어머니 정부인(貞夫人) 권씨(權氏)의 시조에서는 효(孝)와 충의(忠義)라는 유가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는 여성상을 발견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절의(節義)로 대표되는 연정(戀情)과 사랑의 불변성을 노래하는 서정(敍情)의 탐미(耽美)이다. 기녀들은 사대부와의 사랑에 있어서 사랑의 불변성을 절의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런 기녀들의 태도에 신분을 초월하는 찬사와 격려가 있었음을 홍랑과 최경창의 시조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이 개성적 연정은 유교적 이념인 윤리세정(倫理世情)의 변용(變容)이요 기녀라고 하는 특수계층의 또 다른 서정적 탐미라고 할 것이다.
    셋째, 기녀시조(妓女時調)의 절의정신(節義精神)은 절의파(節義波)의 도통(道統)이라는 조선조 유학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다. 조선조 기녀와 지식계층의 교류 양상을 분석해보았을 때, 조선의 성리학적 가치관은 기녀 시조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곧 임에 대한 불변의 사랑과 절의정신은 절의파의 도통이라는 사회적 맥락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도 할 수 있다.
    넷째, 능동적 존재 의미를 자각하는 근대적 현실인식이다. 조선 후기 사설시조 속 여성화자의 사랑은 한 사람에 대한 절의와 불변을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 상황에 따라 변하는 선택적 사랑으로 인식되었다. 이들의 시조에서 화자는 신분이 낮음에도 자신이 사랑하는 상대를 선택하고 거부할 수 있는 대등한 위치의 존재로 인식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자신의 존재 의미를 자각하는 적극적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사설시조(辭說時調)에서는 남녀의 애정과 가족관계 혹은 사회계층적 질서에 있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해 나가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와 병행하여 여성의 삶에도 직접적 변화가 일어났으니, 현실인식을 통한 본성의 발휘와 인간관계의 변혁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충실한 여성상의 변용을 초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done by characterizing the epitome of a female image reflected in an gosijo as three elements.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 of the female image featured in sijo on the literature history was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era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below:First, an image of women who practiced the Confucian ideology and human affection spread. In sijo of Mrs. Kwon, a mother of Lee Hyeon-bo, an image of a woman who valued the education for children is revealed, and in sijo of Mrs. Kwon, a mother of No Jin, an image of a woman embracing Confucian values of filial piety and loyalty can be found.
    Second, the aesthetics of romanticism represented by fidelity and the lyricism expressing an unchangeability of love. Ginyeo often expressed their constant love for a nobleman as fidelity, and a praise and encouragement of overcoming a difference in social standing in the attitude of ginyeo can be found in sijo of Hong Lang and Choi Gyeong-Chang. Also, this characteristic romanticism can be seen as a transformation of the ethics in Confucian ideology and another form of lyrical aesthetics within ginyeo, the unique class of the society.
    Third, fidelity shown in ginyeo's sijo can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especially in Do Tong from a loyalty faction in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pattern of exchanges in ginyeo and intellectuals, it is assumed that neo-Confucianism values had a profound impact on sijo of ginyeo in the Joseon dynasty. So it implies that the unchangeable love for a lover and fidelity is based on the social context of Do Tong from the loyalty faction.
    Fourth, the modern way of understanding realities and meanings of active beings. Their love was recognized as a flexible one that might be changed over the realistic circumstances, rather than fidelity and unchangeability for one person. Poetic narrators in their sijo show an attitude of recognizing themselves as an equal being who can choose or reject lovers despite the low social standing and reveal their activeness through a self-awareness of their own existential meanings. In a form of sijo with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an attempt to change the concept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family relationship, or social class order is reflected. In addition, there had been direct changes in the lives of women, and it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images of women who were eag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cluding the display of their own nature through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changes in human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