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과 인간상 (Ideal of Education and Human Character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8.11
29P 미리보기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과 인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교육 / 27호 / 11 ~ 39페이지
    · 저자명 : 김한종

    초록

    이 글은 제3차 교육과정기 박정희 정부의 교육이념과 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했던 인간상이 무엇이며, 학교교육이나 사회교육에서 이를 어떻게 관철시키고자 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이념은 국가나정부가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지만, 국가교육과정에 이를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제3차 교육과정기는 교육정책은 물론 교육과정 문서에서도 이런 의도가 상대적으로 명확히 드러난다.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은 국가의 발전을 최우선에 두고, 개인과사회, 국가를 일체화하는 발전교육의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교육은 인간을 발달시키는 것이지만, 이때 인간은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인간이었다. 그렇지만 경제성장의 논리와는 달리 그 기반을 전통문화와 정신에서 찾았다. ‘주체성’이나 ‘(한)국적’이라는 구호와 정치 논리가 가장 잘반영된 것이 교육 분야였다. 교수학적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사실탐구 못지않게 가치탐구를 중시한 것에서도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의 이런 성격이 나타난다.
    박정희 정부는 학교와 사회교육을 통해 교육이념이 추구하는 가치관을 사회구성원에게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교육이념의 실천을 일상생활화 하고 학생이나 일반대중이 교육이념의 상징물과 접촉할 수 있는 경험을 최대한 늘리고자 하였다. 국난극복의 자취를 재정비하여 국민교육의현장으로 삼은 것도 그 방법이었다.
    그러나 사람들에게 이런 교육이념이 실제로 내면화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열악한 학교교육의 환경과 주입식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이념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했다. 교육이념의 일방적 전달과 주입이 오히려 정치적 목적에 순응하는 인간을 길러내려는 정권의 의도를가로막는 역설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책은 권력 장악을 정당화하고 체제를 합리화하는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제3차 교육과정기의 교육이념과 인간상이 이때 처음 시행된 것은 아니었다. 이런 교육이념은 박정희 정부 집권 이후 마찬가지였으며, 학교교육 정책에서도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ideal of education and human character which Park Chung-hee government pursued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and then analysed to policies for accomplishing such purpose. Ideal of education reflect political purpose, bu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don’t usually specify them clearly. Nevertheless, Park Chung-hee government exposed such purpose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deal of Education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based on development education, which put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at the forefront and identified individual person and society with state.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to develop human wh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state. Park Chung-Hee government tried to seek the foundation of such the logic of education different from the logic of economical development.
    Park Chung-Lee government tried to internalize its own ideal of education in people’s mind. So, it made practices of ideal of education in everyday life and increased chances of encountering symbols of the ideal to achieve this purpose. Sites of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was reorganized and made of educating nation people’s places. Value inquiry laid stress on more than fact inquiry, though standing on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But the achievement of such purpose is uncertain.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by rote disturbed to pupils’ internalizing ideal of education, and such educational policies was criticized by many people.
    The ideal of education and pursuing human character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not begun in this time but was the same under Park Chung-Lee government, and had been regularized since late 196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