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 특권의 역사적 기원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t Common Law)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6.09
43P 미리보기
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 특권의 역사적 기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법연구 / 10권 / 2호 / 599 ~ 641페이지
    · 저자명 : 조기영

    초록

    이 글은 미국 예일 대학교 로스쿨 John H. Langbein 교수의 논문인『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 특권의 기원』을 번역한 것이다. Langbein 교수는 미국의 저명한 법사학자로서 영미법과 대륙법의 역사, 비교법 등을 연구하는 학자이다. Langbein 교수는 민사 및 형사절차의 역사와 근대 미국법과 대륙법에 관한 많은 비교법적 논문을 저술한 바 있으며, 2000년 법사학 분야에서의 “선구적 업적”을 이유로 미국 법사학회로부터 서덜랜드(Sutherland) 상을 수상하였으며, 그의 저서 『당사자주의 형사재판의 기원(2003)』은 2006년 법학분야 우수 저서로 Coif 저술상(격년)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2009년 Langbein 교수는 법체계의 역사에 관한 교과서인『보통법의 역사 : 앵글로아메리칸 법제도의 발전』을 공저로 출간하기도 하였다. Langbein 교수는 1987년 미국 예술 및 과학 학술원 회원으로 선정되었으며, 캠브리지 대학 Trinity Hall의 명예회원이며 영국학사원의 특별회원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 Langbein 교수는 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의 특권의 진정한 기원은 영국혁명의 정치가 아닌 18세기 말 당사자주의 형사절차의 발흥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 특권은 형사변호인의 작품이다.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보통법상 피고인을 위한 기본적인 보호 장치는 묵비할 수 있는 권리라기보다는 오히려 진술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이러한 성격으로 형사재판이 형성되도록 한 절차상의 특성 중에 가장 근본적인 것은 형사변호인을 금지한 규칙이었다. 형사변호인의 금지는 처음에는 반역사건에서 그 다음에는 중죄사건으로 1696년에서 1836년까지 단계적으로 완화되었다. Langbein 교수의 주장은 18세기 후반 특히 19세기 형사변호인의 영향 아래 자기부죄거부의 특권이 재판 구조의 재구성의 일부분으로서 보통법 절차(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 기준과 근대 형사증거법의 증거배제 장치와 함께)에 들어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변호인에 의한 형사재판의 장악이 형사피고인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에 대한 증인이 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translation of the above mentioned article of Professor John H. Langbein of Yale University, School of Law. John H. Langbein is a Professor of Law and Legal History at Yale University. He is an eminent legal historian and teaches and writes in the fields of Anglo-American and European legal history, modern comparative law and so forth. Professor Langbein has written extensively about the history of civil and criminal procedure, and about the contrasts between modern American and Continental procedure. His book, The Origins of Adversary Criminal Trial (2003), received the Coif Biennial Book Award (2006) as the outstanding American book on law. In 2000 the American Society for Legal History awarded him the Sutherland Prize for his "pioneering work" in legal history. In 2009 he published History of the Common Law : The Development of Anglo-American Legal Institutions (with R. Lerner & B. Smith), a textbook on the history of the legal system. Professor Langbein was elected to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1987. He is an honorary fellow of Trinity Hall, Cambridge, and a corresponding fellow of the British Academy.
    In this Article Professor Langbein explains that the true origins of the common law privilege are to be found not in the high politics of the English revolutions, but in the rise of adversary criminal procedure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t common law was the work of defense counsel. According to Professor Langbein, from the middle of the sixteenth century until lat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fundamental safeguard for the defendant in common law criminal procedure was not the right to remain silent, but rather the opportunity to speak.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criminal trial was to afford the accused an opportunity to reply in person to the charges against him. Among the attributes of the procedure that imported this character to the criminal trial, the most fundamental was the rule that forbade defense counsel. The prohibition upon defense counsel was relaxed in stages from 1696 until 1836, initially for treason, then for felony. In the later eighteenth century and especiall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entered common law procedure (together with the beyond-reasonable-doubt standard of proof and the exclusionary apparatus of the modern law of criminal evidence) as part of this profound reordering of the trial. It was the capture of the criminal trial by lawyers for prosecution and defense that made it possible for the criminal defendant to decline to be a witness against him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