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기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상 (Social Aspects of Bronze Age through Potte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0.12
22P 미리보기
토기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광장 / 27권 / 27호 / 25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수홍

    초록

    가장 많이 잔존하는 고고자료인 토기를 활용해 청동기시대 사회상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토기 연구가편년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편년 이외 토기를 통해 무엇이 밝힐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이다.
    토기의 표면에 잔존하는 흑반의 관찰을 통해 어떻게 소성되었는지, 그을음과 탄착흔의 관찰을 통해 어떻게취사하였고, 어떤 음식을 조리하였는지에 대해서 접근할 수 있다.
    토기의 기종 차이는 지역성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생업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동일한 기종이라도 기형이나 문양에서 지역성을 보인다. 동남해안지역의 검단리식토기, 부산지역의 연지동식토기, 호서지역의 플라스크형 적색마연토기, 경남지역의 함안식적색마연토기, 서부경남과 동부전남지역의 채문토기는 특정지역에서만출토되어 지역상을 보인다.
    돌대문토기, 횡대구획문토기, 타날문토기, 점토대토기는 이주의 결과 한반도 남부지역에 출현하였으며, 파수부 심발형토기, 파수부 적색마연토기, 플라스크형 적색마연토기는 주민의 왕래에 의해 인접한 곳으로 전파되었다.
    토기의 분포권을 집단과 연결시킨 최초의 사례는 고조선의 표지적인 유물로 인식되어 온 미송리형토기이다.
    최근에는 점토대토기를 고조선과 연결시키기도 한다. 집단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고고학에서 끊임없이 추구해야 할 연구 분야지만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approach the social aspects of Bronze Age with pottery, which offers the most affluent archeological materials remaining today. As the previous pottery studies has been focused on dating, they were the studies of what can be revealed through the features of pottery itself without the dating.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methods of making pottery by observing carbon traces by firing on the surfaces and the cooking methods and types of food they cooked by observing soot and scorching.
    Differences among the types of pottery reflected local colors or different occupations among different areas. Even under the same type of pottery, the local colors were reflected through forms and patterns. The Geomdanri-type pottery of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Yeonjidong-type pottery of Busan, flask-type red burnished jars of Hoseo region, Haman-type red burnished jars of Gyeongnam region, and pottery with an eggplant design of western Gyeongnam and eastern Jeonnam were excavated only in certain respective areas and reflected their local aspects.
    The Doldaemun pottery, pottery with a line section, pottery with a stamp design, and clay-stripe pottery were excavated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of migration.
    The deep bowl pottery with handles, red burnished pottery with handles and holes, and flask-type red burnished pottery were spread to adjacent places through the travel of residents.
    The first case of connecting the distribution areas of pottery to a group was the Misongri-type pottery regarded as a marker artifact of Gojoseon. In recent years, the clay-stripe pottery has been connected to Gojoseon. The field of archeology needs to pursu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a group constantly with ca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