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혼⋅상⋅제례 연구 (A Study on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ound in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8.03
32P 미리보기
&lt;하재일기&gt;에 나타난 관⋅혼⋅상⋅제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70호 / 435 ~ 466페이지
    · 저자명 : 송재용

    초록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의 공인(貢人)이었던 지규식이 1891년 1월 1일부터 1911년 윤6월 29일까지 20년 7개월에 걸쳐 거의 매일 쓴 『하재일기(荷齋日記)』에는 국내외 정세와 풍속, 의례, 분원 관련 각종 제반사항, 일상생활사 등을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특히 지규식의 신분은 양반계층이 아닌바, 이 같은 신분으로 쓴 일기는 흔치 않다. 그런데 필자가 여기서 주목하는 것은 『하재일기』에 기록된 의례, 그 중에서도 관⋅혼⋅상⋅제례 관련 내용이다. 지규식은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당시 실제로 행했던 관⋅혼⋅상⋅제례 관련 내용을 『하재일기』에 기록으로 남겼는바, 이러한 일기는 매우 드물 뿐만 아니라 자료적으로도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된다. 특히 19세기 말∼20세기 초의 관⋅혼⋅상⋅제례의 일면을 엿볼 수 있어 여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관례의 경우, 일반적으로 정월에 행했는데, 이 시기에는 시행시기의 다변화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일부 양반가도 예외는 아니었다.
    혼례의 경우, 혼사를 논의할 때 개화되어 가는 과정 때문에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 파기하는 경우가 종전보다 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택일도 신부 집에서 정했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중인들이나 평민들의 경우, 신부 집에서 혼례를 치렀지만, 부득이 한 경우에는 신랑 집에서 혼례를 치루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규식 자녀들의 혼례는 전통적 절차를 비교적 충실하게 밟고 있었지만, 양가의 형편과 사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 예법을 무시한 채, 상중에 혼례를 치르거나 신부를 데려와 신랑 집에서 혼례를 거행한 것은, 근대화 과정에서 외래 종교 및 외래문화의 유입과 이식, 일제의 식민통치, 특히 유교적 사회질서 쇠퇴 등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이혼도 종전보다 흔했던 것 같다.
    상례의 경우, 임종에서 발인하여 하관까지의 기간이 다양한바, 종전보다 다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대부도 보통 임종서 발인까지 3개월인데, 여기서는 7일인바 이를 안 지키는 양반가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하는 3일장과 초우⋅재우⋅삼우제의 흔적을 『하재일기』에서 찾을 수 있는바, 위의 자료들은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된다.
    제례의 경우, 제사 시간이 일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지규식은 기제사를 지내기 전에 재계(齋戒)를 안 했으며, 심지어 제사 전날 술집에 가서 애인을 만나거나 또는 술을 마시기도 하였다. 당시 양반사대부가 하고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지규식은 기독교에 입교하고 나서도 기제사를 지냈으며, 천도교에 입교한 후에도 제사를 지냈다. 한편, 지규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식과 추석 때 직접 또는 동생이나 아들들을 보내 묘소에 가서 차례(묘제)를 지내게 했다. 그렇다고 지규식이 10월에 묘제를 지냈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지규식은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상으로 지내는 생일제사를 생신차례라고 하여 거의 매년 지냈다. 그런데 생신차례와 제사를 별개로 지낸 적도 있어 특이하다. 신분제도가 철폐되고 일제가 강점할 무렵의 경기도 광주지역 중인출신 집안의 기제사, 차례와 묘제, 생신차례를 지내는 모습은 양반가의 제례 관행보다는 약간 다르고 덜 엄격하지만, 양반이 아닌 집안의 제례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이상에서 보듯,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혼⋅상⋅제례의 내용은 자료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Hajaeilgi (荷齋日記)』 was written by Ji Gyu-sik, a gongin of Saongwon (司饔院)’s branch, almost everyday for 20 years and 7 months from January 1st, 1891 until the leap month of June 29th, 1911. It deals with many different areas including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custom, rituals, all the affairs related to the branch, and also everyday life. Particularly, Ji Gyu-sik did not belong to the yangban class, and we can hardly find diaries written by such class’ people.
    Here, what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among the things written in 『Hajaeilgi』 is the contents about rituals, especially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Ji Gyu-sik did write in his 『Hajaeilgi』 about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that were actually performed then as a person not belonging to the yangban class. Such diaries are very rare, and its value is highly appreciated as a material. Particularly,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of this author focuses on the a study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s we can see some aspects about it from his diary.
    Coming-of-age rites were carried out in the first month of the year generally, and in this period, we can see the transformation of their performing period as it was diversified then. This was not exceptional in yangban families.
    About wedding, while it was discussed, it came to be canceled more often than before maybe because they wer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then. It seems that choosing the day was not done in the bride’s family always. Jungin or commoners had a weeding in the bride’s house, but when it was needed, it was also performed in the groom’s house. Ji Gyu-sik followed the traditional wedding procedure for his children rather faithfully, but it was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the two families’ situations or conditions. Ignoring the traditional manners, they had a wedding in the period of mourning or performed a wedding in the groom’s house bringing the bride there. It seems that this was related to the decline of Confucian order in the societ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lso, the form of donations changed, too. Gradually, it was altered to the form of money gifts. Moreover, unlike before, divorcing seems to have been allowed then. Remarriage or divorce was the custom transformed from before.
    Funeral rites had different durations from death up to balin (carrying out a bier for burial) and hagwan (lowering a coffin into the grave), and so it means that they also went through transformation. Sa-daebu used usually 3 months but here was 7 days from death to balin normally, but it seems that there were yangban families not following it. The traces of 3-iljang (burial on the third day after death) most commonly found these days and chowoo⋅jaewoo⋅samwooje can be also found in 『Hajaeilgi』. Such materials are, in fact, very highly evaluated nowadays. Meanwhile, donations also changed gradually to the form of money.
    Regarding ancestral rites, time for memorial service was not fixed. Ji Gyu-sik did not follow jaegye (齋戒) before carrying out gijesa, and in some worse case, he went to pub the day before the memorial service to meet his lover or drink. This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ractice of yangban sadaebu then. Even after entering Christianity, Ji Gyu-sik performed memorial service, and after joining Cheondogyo, he did it, too. Meanwhile, there were some exceptions, but in Hansik or Chuseok, Ji Gyu-sik performed charye (myoje) before the tomb in person or sent his little brother or son to do it. But we cannot find the contents that tell us Ji Gyu-sik carried out myoje in October. Ji Gyu-sik performed saengiljesa calling it saengsincharye almost every year for his late father. But it is noticeable that he performed saengsincharye and memorial service separately, too, occasionally. The gijesa, charye, myoje, and saengsincharye carried out by jungin family from Gyeonggi Gwangju around the time that the status system was abolished and the Japanese Empire took power may have been rather different and less strict than yangban family’s practice of ancestral rites;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we can see with it the aspects of ancestral rites performed in family not yangba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about the a study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ound in 『Hajaeilgi』 are equipped with great value as material and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of forkl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