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서류부가혼 사회의 여성상과 부덕 (Women Image and Female Virtues of Seoryubugahon(婿留婦家婚) Society in Koryo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고려 서류부가혼 사회의 여성상과 부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23호 / 167 ~ 202페이지
    · 저자명 : 박은경

    초록

    고려시대의 여성은 조선시대의 여성과는 달리 그 사회적 지위가 높았음이 주목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의 여성이 ‘종속성’ ‘순종성’ ‘소극성’ 등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데 비해 고려시대의 여성상은 무엇인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전통시대의 여성상은 ‘종속성’ ‘순종성’ ‘소극성’ 등으로 포괄적으로 이해되고, 이로써 고려시대의 여성상은 조선시대의 여성상에 매몰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여성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지니는 고려시대 여성에 대한 의미를 약화시키는 것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 여성사의 전개과정의 이해에 있어서도 문제가 되는 것인 만큼 앞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시대 여성상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고려시대는 서류부가혼의 사회였다. 서류부가혼은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장가드는 것으로서 유교적 혼속인 친영제와 상반되는 혼속이었다. 더욱이 서류부가혼은 단순히 혼속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친족제도 등 고려의 사회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 서류부가혼은 양측적 친속사회였던 고려사회의 혼속으로 고려사회가 부계혈통만이 강조되던 남성 중심의 유교사회가 아니었음을 반증해준다.
    이러한 비유교적 사회 여건 속에서 고려시대의 여성은 다음과 같은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첫째, 고려시대의 여성은 개방성을 지니고 있었다. 고려의 여성들은 남녀의 구별이 없는 개방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마음에 드는 남성에 대해서는 자신의 마음을 적극 표현하는 등 개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둘째, 고려시대의 여성은 주체성을 지니고 있었다. 고려시대의 여성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주도해나갔으니, 자신의 처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해나가며 당당한 삶을 살았다.
    셋째, 고려시대의 여성은 적극성을 지니고 있었다. 조선시대의 여성이 내외법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제약 속에서 살았던 반면 고려시대의 여성은 불교를 중심으로 한 사회활동에 적극 관여하였으며,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서 집단적인 의견을 표출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고려 묘지명 등 여성 관련 자료에는 ‘삼종지도’나 ‘부덕’ 등 유교적 관념이 드러나는 사료가 다수 나타남으로써 고려시대 여성상을 이해하는데 혼돈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묘지명이 유학자에 의해 쓰여짐에 따라 나타난 기록 과정상의 문제로서, 인간사회에서 추구되는 보편적인 가치가 유교적인 용어로 표현된 것일 뿐 실제로 고려시대의 여성들이 유교적인 삶을 살았던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영어초록

    Unlike the women in Chosun period, those in Koryo period have been noted for their high social status. Notwithstanding, while the women in Chosun period were characterized by 'dependency' 'obedience' 'passivity', etc., the women image of those in Koryo period was not presented. Thus, the women image of traditional age was comprehensively understood as 'dependency' 'obedience' 'passivity', etc. As a result, the women image in Koryo period was buried under that of women in Chosun period. Since this result not only weakens the meaning of women in Koryo period who take significant position in women history of Korea, but also poses problems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preading women history of Korea, it is required to actively present the women image of women in Koryo period. The society was in Seoryubugahon(婿留婦家婚) in Koryo period. As a system where men enter women's home for marriage, Seoryubugahon is a marital custom which is contrary to Chinyoungje(親迎制), the Confucian marital custom. Further Seoryubugahon, not a mere marital custom,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social structure of Koryo such as the then kinship system. As a marital custom of Koryo society, a Yangcheukjeokchinsok(兩側的 親屬) society, Seoryubugahon verifies that Koryo society was not a male-based Confucian society where only patrilineal consanguinity was emphasized.
    In such anti-Confucian social circumstances, the women in Koryo period came to acquire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women image of Koryo is openness. In the open social atmosphere where male and female we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they showed open feature by actively wooing male they preferred.
    Second, the women image of Koryo is subjectivity. They took initiative in leading their life by subjectively solving their problem in their own situations.
    Third, the women image of Koryo is activeness. While the women in Chosun period lived in diverse restrictions caused by Naewaebeop(內外法), those in Koryo period were active in social activity based on Buddhism, showing active attitude by expressing collective opinion on social issues.
    By the way, the materials related to women such as Myojimyung(墓誌銘) in Koryo show many historical materials which reveal Confucian idea such as ‘Samjongjido(三從之道)’ or ‘female virtues(婦德)’, thereby confusing us in understanding the women image in Koryo period. However, the records in Myojimyung were written by Confucianists and the value universally pursued in human society was expressed in Confucian terms, keeping distance from the actual features of women in Koryo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