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법(私法)상 차별금지와 허용되는 차별대우 (Eine rechtsvergleichende Untersuchung über die deutsche und koreanische Diskriminierungsverboten und die zulässige Diskriminierungen im Zivilrech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1.03
39P 미리보기
사법(私法)상 차별금지와 허용되는 차별대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사법학 / 94권 / 41 ~ 79페이지
    · 저자명 : 박신욱

    초록

    사람은 누구나 우리 민법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라고 할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사적자치, 그 중에서 계약자유의 원칙을 통해서 계약을 체결하고 형성하는 자유 역시 보장받는다. 여기에는 계약을 체결할 것인지의 여부, 나아가 누구와 계약을 체결할 것인지에 대한 자유도 포함된다. 다만 인격권, 평등권 같은 기본권은 私法에서 직접적으로는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민법의 일반조항을 통해, 혹은 특별법의 규정을 통해 私法영역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사적자치와 평등권, 인격권과 같은 기본권들은 상호간에 약간의 긴장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긴장관계의 흐름 속에서 지속적으로 발의되는 차별금지법(안)을 민법학의 영역에서 바라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이에 본고(本稿)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제안되었던 차별금지에 관한 일반법안들을 확인 및 분석하고, 이미 2006년 입법되어 시행되고 있는 독일의 일반평등대우법(AGG) 중 우리 민법의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법(私法)상 차별금지 및 차별대우가 허용되는 경우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AGG 제19조 이하의 규정과, 이들 규정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어 순수한 의미의 사적자치원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판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차별금지에 관한 일반법 도입과 관련된 논의에 있어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첫째, 차별금지에 대한 일반법 도입에 찬성한다. 둘째, 차별의 표지는 열거적으로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 차별금지에 대한 일반법을 도입하게 된다면 사법(私法)의 특수성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체결강제는 허용될 수 없지만, 체결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은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도입할 필요가 없다. 여섯째, 허용되지 않는 차별대우라고 하더라도 차별대우가 객관적인 사유에 의한 것이라면 그 역시도 허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법안들은 논리적 보편성이나 수학적 평등의 개념을 법적 정당성과 혼동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법(私法)이 갖는 특수성을 인식한 차별금지에 관한 새로운 일반법이 도입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Jedem wird die Freiheit garantiert, Verträge durch das Prinzip der reinen Privatautonomie zuschließen. Das Prinzip dieser Privatautonomie beinhaltet offensichtlich die Freiheit, ob und mit wem ein Vertrag geschlossen werden soll oder nicht (Parteiautonomie). Grundrechte wie Menschenrechte und Gleichberechtigung sind jedoch nicht direkt zivilgesetzlich vorgeschrieben, verlieren jedoch durch die Generalklausel im Zivilrecht wie § 138 BGB oder die Bestimmungen des Sonderrechts ihren Einfluss auf dem Gebiet des Zivilrechts nicht vollständig. Grundrechte wie Handlungsfreiheit mit Privatautonomie, Gleichberechtigung und Persönlichkeitsrechte können daher eine leichte Spannung untereinander bilden. Daher kann es ein sehr interessantes und wichtiges Thema sein, das Antidiskriminierungsgesetz (Entwurf) zu betrachten, das im Zusammenhang mit einem derart angespannten Verhältnis im Bereich des Zivilrechts kontinuierlich vorgeschlagen wird. Daher wurden in diesem Papier die in Korea vorgeschlagenen allgemeinen Antidiskriminierungsgesetzentwürfe ermittelt und analysiert. Seitdem wurden im Rahmen des bereits gesetzlich geregelten und 2006 in Kraft getretenen Allgemeinen Gleichbehandlungsgesetzes (AGG) die Bestimmungen nach §§ 19 ff. AGG eingeführt, die sich auf den Bereich des koreanischen Zivilrechts auswirken können. Darüber hinaus wurde versucht, grundlegende Daten bereitzustellen, die in Diskussionen zur Einführung des Antidiskriminierungsgesetzes in Korea verwendet werden können, indem eine Entscheidung (BGH, Urt. v. 27.5.2020 - VIII ZR 401/18) konkret bestätigt wurde, wie diese Vorschriften tatsächlich angewendet werden und wie sie die Privatautonomie beeinflussen. Gleichzeitig wurden folgende Stellungnahmen abgegeben: Erstens stimme ich der Einführung eines allgemeinen Gesetzes gegen Diskriminierung zu. Zweitens sollten die Anzeichen von Diskriminierung aufgezählt werden. Drittens muss bei der Einführung eines allgemeinen Gesetzes gegen Diskriminierung die Besonderheit des Privatrechts berücksichtigt werden. Viertens ist es gegen die Einführung der Kontrahierungszwang, aber es ist notwendig, das Kontrahierungsanspruch anzuerkennen. Fünftens ist es nicht erforderlich, ein Strafschadensersatzsystem einzuführen. Sechstens, auch wenn Diskriminierung nicht erlaubt ist, sollte Diskriminierung auch aus objektiven Gründen erlaubt sein. Zusammenfassend lässt sich sagen, dass die in Korea derzeitige vorgeschlagene allgemeine Antidiskriminierungsgesetzentwürfe das Konzept der logischen Universalität oder der mathematischen Gleichheit mit der rechtlichen Rechtfertigung verwechselt. Daher wird erwartet, dass ein neues allgemeines Gesetz gegen Diskriminierung eingeführt wird, das die Besonderheit des Zivilrechts anerken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