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환경법상의 단체소송에 관한 소고 (A Study on Class Actions under Environmental Law in German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독일 환경법상의 단체소송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7권 / 3호 / 135 ~ 164페이지
    · 저자명 : 한귀현

    초록

    공공의 이익으로서의 환경이익의 옹호는 배타적으로 행정청에 맡겨져 있지만, 환경법에 있어서의 집행의 결여로 인하여 환경의 이익이 행정청의 손에 의해 충분히 보호된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환경법 내지 환경행정의 영역에서는 환경NGO와 행정의 파트너쉽의 구축 내지 협동이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행정의 영역에서 현저한 집행의 결여를 해소하고 환경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유효한 대책의 하나로서 환경단체소송의 도입이 주목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사법악세스권에 관해서 규정하고 있는 아후스조약 제9조 및 유럽연합의 공중참가지침 제15a조를 국내법으로 전환하기 위해 2006년 12월 7일 환경권리구제법이 제정되었는 바, 동법은 무엇보다도 환경법일반에 관한 단체소송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인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법은 특히 단체의 사법악세스권과 법원의 심사범위를 「개인의 권리를 근거지우는」 환경법규위반의 행위에 한정하고 있었던 점 등으로 인하여 유럽법에의 적합성이 불충분하다고 비판 받아 왔다. 이런 가운데 2011년 5월 11일 유럽사법재판소가 이른바 트리아넬판결에서 독일의 환경권리구제법은 유럽연합의 공중참가지침에 위반된다고 판시함으로써 환경권리구제법의 개정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한편 유럽법위반을 시정하기 위해 2013년 개정된 환경권리구제법은 환경단체의 사법악세스권의 확대를 도모한 반면에, 단체소송에 대한 새로운 제한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여전히 유럽법에의 적합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환경단체소송은 이제 일부의 국가나 특정한 분야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이른바 그린사법악세스권의 보장은 환경민주주의의 국제적인 지표가 되고 있다. 요컨대, 환경이익은 개인의 이익일 뿐만 아니라 공공의 이익이기도 하다는 기본사고에 입각하여 환경법에 있어서의 집행의 결여를 해소함과 아울러 법치주의를 관철하기 위해 환경단체소송의 도입이 불가결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환경법에서도 개인의 법적 이익의 침해를 요건으로 하는 통상의 행정소송으로는 환경이익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다는 인식하에 환경단체소송을 도입함으로써 환경행정에 대한 사법적 통제를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advocacy of environmental interest as public interest has been entrusted exclusively to administrative authorities, it can not be said that environmental interest has been protected adequately by the hands of administrative authorities due to lack of enforcement in environmental law.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partnership between environmental NGOs and administrative authorities or cooperation between them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issue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law or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Theref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class actions as one of effective measures for alleviating significant lack of enforcement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and for protecting environmental interest.
    In Germany, the Environmental Remedies Act was enacted in December 7, 2006 to transpose Article 9 of the Aarhus Convention and Article 15a of the European Union's Public Participation Directive, both of which provide the access to justice, into domestic law,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ct is recognized in the aspect that it allows class actions on environmental law in general. Nevertheless, this Act has been criticized by reason of insufficient consistency with European law because this Act restricted collective access to justice and the scope of review by courts to violations of environmental statutes “which provide for individuals' rights.” In such circumstances, the decision made on the so-called Trianel case by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on May 11, 2001 made it inevitable to amend the Environmental Remedies Act as it held that the Environmental Remedies Act of Germany contravened the Public Participation Directive of the European Union. Meanwhile, it is still doubtful whether the Environmental Remedies Act as amended in 2013 to rectify the contravention of European law is consistent with European law because it places new restrictions on class actions, while it promotes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ccess to justice.
    Environmental class actions are no longer limited to some states or some particular areas, and the guarantee of so-called green access to justice has become an international indicator of environmental democracy. In short,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class actions seems to be unavoidable so as to alleviate the lack of enforcement of environmental law and enforce the rule of law, based on the fundamental idea that environmental interest is not only private interest but also public interest. Therefore, considering that the ordinary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that requires a violation of legal interest of a private individual as an element under environmental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cannot guarantee environmental interest sufficiently, it seems necessary to strengthen judicial control over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by introducing environmental class a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