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가바따 뿌라나(Bhāgavata Purāṇa)에 나타난 상캬 사상 이해- Īśvarakṛṣṇa의 Sāṃkhya Kārikā의 상캬 사상과 관련하여 - (An Understanding of a Sāṃkhya Thought in Bhāgavata Purāṇa : with regard to Īśvarakṛṣṇa’s Sāṃkhya Kārikā)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7.04
30P 미리보기
바가바따 뿌라나(Bhāgavata Purāṇa)에 나타난 상캬 사상 이해- Īśvarakṛṣṇa의 Sāṃkhya Kārikā의 상캬 사상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요가학연구 / 17호 / 11 ~ 40페이지
    · 저자명 : 문을식

    초록

    『바가바따 뿌라나』는 18종류 대뿌라나 가운데 가장 중요한 뿌라나의 하나로, 대략 9-13세기쯤에 작성되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이것의 사상적 주류는 베단따 사상이다. 상캬 철학은 무신론이지만 『바가바따 뿌라나』는 힌두들에게 힌두 신앙의 토대를 제공하는 민중적인 신앙복음서로서 유신론적 경향을 띤다. 그럼에도 『바가바따 뿌라나』에 보이는 상캬 사상은 고전 상캬 철학과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고전 상캬 철학은 25원리로 체계적으로 말하지만, 이것은 여러 원리들을 제시하며 각기 약간씩 다른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바가바따 뿌라나』와 상캬 철학에서 차이를 보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가바따 뿌라나』에서는 최고자아(Brahman)를 첫 원리로 세우지만, 상캬 철학에서는 뿌루샤와 쁘라끄리띠의 두 원리를 최고 원리로 본다.
    둘째, 보편적 자아는 질료인이면서 동력인이라고 하는데 상캬 철학에서는 쁘라끄리띠가 질료인이라면 뿌루샤는 동력인이다.
    셋째, 『바가바따 뿌라나』는 유신론적 경향을 띠어 자재신 이슈바라와 순수정신 뿌루샤를 동격으로 보지만 상캬 철학은 유신론적인 신격을 안정하지 않는다.
    넷째, 『바가바따 뿌라나』는 세 속성들의 평형상태가 깨져 전개되어 나올 때의 결과들이 상캬 철학과는 다르게 설명한다.
    다섯째, 『바가바따 뿌라나』는 다섯 지각기관이나 다섯 행위기관에 대한 설명은 자세하나 다섯 미세원소나 다섯 거친 원소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이지 않다.
    여섯째, 불이일원론 베단따 개념인 환영과 시간 정신 등과 같은 용어들이 자주 등장하며, 이것을 상캬 사상과 결부시켜 설명을 시도하지만, 이것은 상캬 사상과 전혀 부합하지 않는 요소들이다.
    이와 같이 『바가바따 뿌라나』와 상캬 철학에 담긴 내용은 베단따의 입장에서 상캬의 사상적 요소를 포용하려는 의도가 『바가바따 뿌라나』 안에 깔려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Bhāgavata Purāṇa is the important one of the eighteen Mahā Purāṇas. This literature is was guessed which is constituted approximatively 9-13th century. This thoughtful mainstream is Vedānta, but many Sāṁkhya philosophical contents included in it. The Sāṁkhya Philosophy is an atheistic, but it is a theistic. It provides a gospel for hindus to hindu faith. Yet it was discovered a lot of similarities with the classic Sāṁkhya philosophy. Thus we can arrange in the following six points of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Bh-p and SK literatures.
    First, Bhāgavata Purāṇa stands an Universal Self(Brahman) of the first principles, Sāṁkhya philosophy stands two principles of Puruṣa and Prakŗti.
    Second, An universal Self is both material cause and efficient cause in it, but Puruṣa is efficient cause and Prakŗti is material cause in the Sāṁkhya philosophy.
    Third, Bhāgavata Purāṇa and Sāṁkhya philosophy explain differently results of the three properties(tri guṇas).
    Fourth, Bhāgavata Purāṇa explains for five action organs(pañca karmendriyas) and five perception organs(pañca buddhīndriyas) in detail, but a description for a rough five elements(pañca mahābhūtas) is not concrete.
    Fifth, Bhāgavata Purāṇa explains which is associating with the terms of Sāṁkhya philosophy such as illusion(māyā) and time spirit, but these are the factors that not is consistent with the Sāṁkhya philosophy.
    Sixth, Bhāgavata Purāṇa regards in apposition Īśvara with Puruṣa which have theisical tendency, but Sāṁkhya Philosophy is atheism, and therefore it does not pretend to a deity(Īśvara).
    Thus contents of the Bhāgavata Purāṇa and Sāṁkhya Philosophy appears almost same outwardly, but actcually these two different. Finally we have been read with the intention that from Vedāntic position is to embrace Sāṃkhya thought el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