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죄협상제도의 도입과 양형상 고려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Plea Bargaining and Consideration of the Sentenc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4.06
28P 미리보기
유죄협상제도의 도입과 양형상 고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7권 / 2호 / 163 ~ 190페이지
    · 저자명 : 장승일

    초록

    유죄협상은 피고인 또는 피의자가 수사기관에 자백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원래의 범죄사실보다 가벼운 범죄로 처벌받는 것을 보장받는 제도이다. 영미법계에서는 사법자원의 효율화를 근거로 하여 형사사법절차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제도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형사정의는 거래될 수 없다는 대전제로부터 명시적인 제도의 도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독일에서도 형사소송법에 유죄협상제도가 명문화되고, 우리 검찰도 2005년 이후 제도의 도입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제기한 이후 제도의 도입을 지지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유죄협상제도를 도입한다는 것은 형사사건의 실체적 진실이 책임주의에 근거한 형벌이 아니라 범죄자와 소추기관의 자의적인 협상에 따라 도출된 형벌에 따라 해결하더라도 형사정의가 실현된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결론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협상의 당사자가 동등한 위치에서 공정한 협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현실은 이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우리 검찰은 외국과 비교하여서도 매우 월등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으며, 정치권의 권력에 대해서도 독립성을 인정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다. 수사기관은 형사사건의 신속한 처리와 사법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오히려 우월한 지위를 이용하여 제도화된 유죄협상제도를 통해 수사의 편의성만을 추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범죄자는 유죄협상제도에 들어감으로써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보장하는 많은 권리들을 포기해야 하고, 수사기관이 일방적으로 협상을 포기하더라도 별다른 대항수단이 없다. 또한 유죄협상의 결과물이 법원을 구속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아무런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법원이 유죄협상의 당사자로 참여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으나 법관이 수사절차에 참여하게 되면 오히려 사법기관간의 갈등을 불러올 수 있다. 또한 피의자는 전문적인 법률지식이 없으므로 변호인에게 협상을 맡길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변호인은 수사기관과의 적당한 타협안을 도출하고 이를 자신의 의뢰인에게 강요하는 형식을 취할 위험이 크다. 또한 유죄협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양형에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해서도 불분명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정립해가고 있는 양형기준이 더욱 명확하게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한 나라의 법제도는 그 사회의 역사적 전통, 국민의식, 생활환경등을 종합하여 보여주는 거울이다. 외국의 제도를 도입하기에 앞서 우리 사회와의 공통점과 다른 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유죄협상제도를 우리사회에 전반적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유죄협상제도의 도입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범죄유형에 따른 수사의 어려움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수사의 신속성을 요할 만큼의 수사현실인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고인 또는 사법협조자와의 형량을 통한 협상으로 인해 법적용의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 plea bargaining is a negotiation, in which a defendant or a suspect gets guarantee on the punishment based on a minor crime than its original criminal fact in return for the providing investigative agency with a confession. In the legal system of U.K. and U.S., plea bargaining is being utilized as an indispensable system for the criminal judicial proceeding aiming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judicial resources. However, in the legal system of the Continental Law countries, explicit introduction of plea bargaining was not done with a prerequisite that criminal justice cannot be dealt. However, recently, the plea bargaining was stipulated i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n Germany. In Korea, since the prosecution had formally suggested the necessity of plea bargaining introduction in 2005, there have been more voices that support the introduction of plea bargaining. Introducing plea bargaining is the acceptance of the principle that criminal justice would be realized when the substantive truth of a criminal case would be resolved by an arbitrary negotiation between a criminal and an impeaching agency; rather than by the punish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ect this in Korean reality. The prosecution in Korea exercises much more superior authority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knowledge that the Korean prosecution is completely independent from political power. The investigative agency says that the plea bargaining would accelerate the handling of criminal cases and the efficient allocation of judicial resources; however,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 investigative agency would just pursue the convenience in investigation through plea bargaining utilizing the superior position of it. Furthermore, a criminal should waive many right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by accepting the plea bargaining. If the investigative agency would waive plea deal unilaterally, there is no way to save the affected criminal. In addition, there is no conclusion drawn regarding whether the result of plea deal would bind the court or not.
    There is a suggestion that the court can also take part in plea deal as one of the parties ; however, there can be a conflict between the judicial agencies if a judge would take part in investigative procedure. In such situation, there is high risk that the defending attorney would draw a proper deal with investigative agency and force the deal to its client. In addition, the detail impact of plea deal on the weighing of an offense is not clear. For this, the ongoing establishment of sentencing guideline should be clearer.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sentence reduction system for an assisting defendant, in which a defendant gets reduction in its sentence by providing investigative agency with a testimony on other’s crime, is also difficult in Korea now. The legal system of a state is a mirror, which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historical tradition, people’s awareness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society. It is suggested that there would be more in-depth discussion on the properness foreign legal system with our legal reality before introducing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