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의 민법상 지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ivil Law Status of Anim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5.03
28P 미리보기
동물의 민법상 지위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 / 31권 / 1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권오상

    초록

    최근 정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동물에 대한 보호와 동물의 복지에 관한 국민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물의 법적 지위를 변경하는 민법 개정안이 꾸준히 제안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법 개정에 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거나 입법이 급하게 추진되고 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민법상 동물의 법적 지위를 변경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살피기 위해 현행 법체계상 동물의 법적 지위를 우선 살펴보았다. 현행 민법상 동물은 물건으로 보아야 하며, 동물보호법에 동물과 반려동물 등에 관한 개념 규정이 존재하지만 별도로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조항은 없기 때문에 현행 법체계상 동물은 물건으로 취급된다.
    다음으로 동물의 비물건성을 검토하기 위해 외국 입법례와 국내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는 동물이 물건이 아니라는 점을 민법에 명시하였으나 동물에게 법인격을 부여하지는 않고 있으며, 동물이 감성을 가진 생명체임을 민법에 명시한 프랑스 입법례가 좀 더 적극적인 점을 확인하였다. 국내의 논의는 동물이 물건인지에 대한 찬반양론의 대립이 있으나, 대체로 동물의 비물건성은 인정하되 동물에게 인간이 누리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은 어렵다고 보는 것이 다수의 견해이다.
    현재까지의 논의와 사회환경에 비추어 볼 때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동물이 물건이 아니라는 점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동물에게 별도의 법인격을 부여하는 것은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민법상 동물의 비물건화 조항이 신설된다면 추가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민법상 동물과 반려동물 개념의 명확한 정의, 민사집행법상 압류금지대상에 반려동물의 추가, 이혼 시 반려동물의 귀속기준, 형법상 재물손괴죄 적용의 어려움과 형법개정 필요성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민법상 동물의 비물건화 규정을 신설하는 것은 개별법령의 제・개정을 이끌어 동물에 대한 보호와 동물복지의 측면에서 동규정이 일종의 기본조항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cent government investiga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ambiguity of animals and the public’s awareness of animal welfare are increasing. Accordingly, amendments to the civil law to change the legal status of animals have been continuously proposed,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riticisms that social consensus on the revision of the law has not been reached or legislation is being promoted in a hurry.
    In order to se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change the legal status of animals under civil law, the legal status of animals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was first examined. Under the current civil law, animals must be viewed as objects, and there are conceptual provisions on animals and companion animals in the Animal Protection Act, but there is no separate provision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s, so animals are treated as objects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Next, to examine the immateriality of animals, foreign legislation and domestic discussions were examined. Germany, Austria, and Switzerland stipulated in the civil law that animals are not objects, but do not give animals legal personality, and confirmed that French legislation that animals are creatures with sensitivity is more active. There i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whether animals are objects in domestic discussions, but in general, it is the opinion of the majority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immateriality of animals but to give animals the rights enjoyed by humans.
    In light of the discussions so far and the social environment, it is not desirable to treat animals as objects. However, even if it is admitted that animals are not objects,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to give them a separate legal personality.
    Finally, if a new provision for the non-objectification of animals is established under the Civil Act,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were examined in the order of a clear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animals and pets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the addition of pets to the prohibition of foreclosure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the criteria for attribution of pets in case of divorce, the difficulty of applying property damage under the Criminal Act, and the need to amend the Criminal Act.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gulation on the de-objectification of animals under civil law is expected to lead to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individual laws, so that the regulation can serve as a kind of basic provision in terms of animal protection and animal welf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