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耽羅 前期의 聚落構造와 社會相 (The Settlement Structures and Social Aspects during the Former Half of Tamra)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8.02
49P 미리보기
耽羅 前期의 聚落構造와 社會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57호 / 37 ~ 85페이지
    · 저자명 : 김경주

    초록

    탐라시대 전기의 거점취락은 경계석축, 공동 창고군, 공공 건물지, 특수목적 주거지, 석조우물의 축조와 같이 이전에 없던 차별화된 취락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타날문토기의 영향으로 표준화된 외도동식토기가 출현하고 곽지리식토기로 발전한다.
    취락내 사회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대규모 토목공사를 진행했던 공인집단과 표준화된 토기제작의 전문 장인집단, 수공업 생산집단, 대외교역의 수행집단 등으로 이루어진 분업화된 사회조직을 구성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사회구성원을 통제하기 위한 상위계층의 존재도 상정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탐라 전기 사회는 분업화된 전문 기술집단과 수장층이 존재하는 위계화된 취락사회로 해석되며 이는 바로 탐라정치체의 등장을 시사한다.
    탐라 전기의 취락사회는 전남지역이 백제에 영역화되는 6세기 중반 이전까지 서남부권역의 마한세력을 거점으로 남부 가야와의 대외교역 루트를 통해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맥락은 3~5세기대 제주에서 출토된 외래계토기가 대부분 마한계토기이고 소가야계토기가 일부 동반되는 것으로 입증된다.
    탐라의 상위계층은 안정적인 철수입과 선진문물을 도입하고 다양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한반도 남부지역의 제소국과 교섭을 갖고 다원적인 외교활동을 지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base settlements of the former half of the Tamra period show differentiated settlement structures not found in the previous period such as boundary stonework, joint warehouses, public building sites, special-purpose residence, and stone wells. In addition, the Oidodong-type pottery, which was standardized by the influence of the paddling-patterned pottery, emerged and developed into the Gwakjiri-type pottery.
    As for the social structure within the settlement, they formed a specialized social structure consisting of the group of public figures in charge of large-scale public works, the group of professional artisans in charge of standardized pottery production, the group of manual industry-based production, and the group of overseas trad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n upper class to control these members of the society. As mentioned earlier, the society during the former half of Tamra is interpreted to have been a hierarchical settlement society with specialized professional technical groups and the ruling class, which implies the emergence of the Tamra political body.
    The settlement society during the former half of Tamra had active exchanges with Southern Gaya via the overseas trade route with its base in the Mahan force in the southwestern region until the middle sixth century when the Jeonnam reg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Baekje. This context is verifi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 foreign pottery excavated in Jeju in the third to fifth century was the Mahan-style pottery with the Sogaya-style pottery accompanying it in some cases.
    It is estimated that the upper class of Tamra had negotiations with small states in the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inued its pluralist diplomatic activities with them in order to ensure the stable import of iron, introduce advanced civilization, and obtai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