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상 경제성원칙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Economic-efficienc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03
43P 미리보기
헌법상 경제성원칙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7권 / 1호 / 27 ~ 69페이지
    · 저자명 : 신현석

    초록

    경제성은법적으로이행이강제될수있는개념이아니다. 경제성에관한개념자체의모호성과 효력의 불확정성은 현실 문제를 대하는 규범판단 과정에서도 경제성을 법원칙으로고려하기어렵게한다. 도덕적·윤리적가치판단의영역과효율성·능률성에관한실적평가의영역은 서로 범접하기 어려운 평행선을 그리며 오랫동안 각자의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
    그래서 경제성 개념은 애초부터 도덕적·윤리적 가치판단과는 쉽게 친해질 수 없는 것으로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개인의 자율과 창의가 중시되고, 불필요한 규제가 완화되며, 입법형식 면에 있어서는 정책법·기본법·방침법화 경향이 나타나면서, 국가 권한의 행사방식과 사회적분위기는점점합리적재량과책임성을강조하는모습을띠게되었다. 그로인해합법성 통제만으로는 모든 국가작용과 법률관계의 다변화된 양상을 포괄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경제성원칙은 법치국가원리의 한계 내에서 효율성과 합리성을 기준으로 다양한 가치와 이익을 형량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목적과 수단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고려요소로 등장하게 된다. 그렇다보니 경제성원칙은 기존의 법규범이나 통제원리들과는 다소상이한 지위와 체계를 가진 것으로 인식되어, 기존의 규범체계 안에 적절히 융화되기는 쉽지 않은 개념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경제성원칙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경제성원칙은 오늘날 단순히 사실적 요소나 경제학적 개념에만 머물지않고, 법적 원리로기능하는헌법상 원리임이분명한것으로 받아들여지고있다. 특히 경제성원칙은 규범판단 과정에서 다양한 가치와 이익들 간의 형량을 명하게 되는 이른바 최적화명령을 그 본질로 한다. 그러므로 경제성원칙은 법적 효력 면에서 통상의 법규범과는 다르게 불확정적인 효력 발생에 그치는 잠정명령으로 규정지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경제성원칙의 특수한 법적 지위와 효력 및 구체적인 형량방법을 규명하여, 현행법체계 안에서 경제성원칙이 유효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이로써 법과 제도의 합법성은 물론 효율성과 합리성을 동시에 추구할수 있는 법치국가적 부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Economic-principle is not a concept that can be enforced legally.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itself and the uncertainty of its effectiveness have made it difficult to consider Economic-principle as a court rule in the process of judging norms that deal with real problems. It has been a big difference between morality and efficiency.
    However, with individual autonomy and creativity valued, and unnecessary regulations eased, rational discretion and accountability became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made it difficult for the legitimacy control alone to cover the diversified aspects of all national relations of legality. The Economic-principle appears as a consideration factor that enables optimization between purpose and means by weighing various values on the basis of efficiency and rationality within the limits of rule of law; as such, Economic-principle has been perceived to have somewhat different status and systems from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integrate them properly within the existing normative system. According to research on Economic-principle that has been conducted so far, it is not merely factual factor or economic concept today, but clearly accepted as constitutional principle; in particular, the Economic-principle is based on the so-called “optimization order”, which requires consideration between various values and interest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norms; the Economic-principle has only an indeterminate effect; its character is different from other norm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egal status, effectiveness, and specific method of consideration on the Economic-principle, so that the Economic-principle can be effectively used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