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증산의 효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a of Hyo(Filial Piety) in Kang Jeung-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4.10
28P 미리보기
강증산의 효사상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종교연구 / 51권 / 51호 / 53 ~ 80페이지
    · 저자명 : 이은희, 이경원

    초록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 세대 간 가치관 충돌로 가정불화가 잦아지고 자살률이 높아지고 독거노인 문제가 심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21세기 인간에게 치유약이 될 윤리가 시급하다. 그중 이 연구는 효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의 종교사상가인 강증산(姜甑山)의 효사상을 종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연구하여 효윤리 재정립에 필 요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증산은 전통과 근대의 극 심한 과도기에서 세상에 효가 없는 등 천하가 모두 병들었다고 진단하고, ‘상생 (相生)의 도’라는 독특한 관점에서 효윤리를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재해석하였다. ‘상생의 도’는 원한을 풀고 서로 잘되는 ‘해원상생(解冤相生)’과 은혜를 갚아 서로 잘되는 ‘보은상생(報恩相生)’의 원리를 가리킨다.
    증산의 효 개념 특징은 여섯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보은상생으로서의 효에서 는 부모뿐 아니라 선령신과 상제에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새로운 효행법을 알려 준다. 보은상생은 분리와 소외에서 벗어나 근원적 존재와 연결하게 해주는 중요 원리로 작동한다. 둘째, 해원상생으로서의 효에서는 상극적인 효행법을 지양하고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을 해소하여 가정화목을 이룰 수 있도록 해원상생적 효 실천법을 보여준다. 셋째, 자아실현으로서의 효는 효행이 자신의 참된 본성을 되찾게 하고, 남녀 구별 없이 개인의 영적 완성과 더불어 직선조와 외선조의 영적 완 성도 함께 이루게 한다. 넷째, 수복(受福)윤리로서의 효는 복이 이르는 우주의 법칙을 밝힘으로써 이기적인 사람에게도 효 실천에 자발적인 동기를 부여한다. 다섯째, 구원윤리로서의 효에서는 선령과 상제에 대한 보은은 후천개벽 때 개인과 조상의 구원에 이르는 길이며, 세계 인류를 구원하는 중요한 실천 윤리로 작동한다. 여섯째, 상생적 관계로서의 효에서는 상제-인간, 선령-후손의 관계가 상생적 관 계임을 보이면서 부모-자녀의 수직적이고 일방적이던 관계 구조를 인존(人尊) 기반의 상생적 관계로 근원적으로 재정립한다.
    이 연구는 증산의 가르침을 따르는 여러 신종교의 신도들에게 나타나는 효 실천 맥락을 이해할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증산의 효사상은 현대 한국 사회의 전통과 현대성을 아우르고, 전통적 효의 특징으로 알려진 비민주적, 불평등적 그리고 비자율적 특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그의 효 사상은 현대인에게 공감을 줄 수 있고, 효 실천에 자발적인 동기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n a time of rapid social chang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resulting in family discord, rising suicide rates, and worsening problem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ethics that can serve as a cure for people in the 21st century are urgently needed.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of filial piety and aims to provide ideas necessary for reestablishing filial piety ethics. Kang, Jeung-san, a Korean religious thinker, diagnosed that the world was sick with no filial piety in the extreme transition period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critically inherited and reinterpreted filial piety ethics from a unique perspective called the ‘Dao of Sangsaeng(mutual beneficence).’ The ‘Dao of Sangsaeng’ refers to the principles of ‘Haewon sangsaeng’, where grudges are resolved and each other is better off, and ‘Boeun sangsaeng’, where favors are repaid and each other is better off.
    Jeung-san’s concept of filial piety is characterized by six characteristics. First, in filial piety as Boeun sangsaeng, the scope i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parents but also ancestral spirits and the Supreme God, and a new method of filial piety is introduced. Boeun sangsaeng function as an important principle that allows us to escape separation and alienation and connect with the original being. Second, in filial piety as Haewon sangsaeng, the method of practicing filial piety is shown to repay evil with good in order to avoid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achieve family harmony. Third, in filial piety as self-realization, filial piety allows one to regain one’s true nature and achieve spiritual perfection of individuals regardless of gender, as well as spiritual perfection of direct and matrilineal ancestral spirits. Fourth, in filial piety as an ethics of receiving blessings, it voluntarily motivates even selfish people to practice filial piety by revealing the laws of the universe that blessings lead to. Fifth, in filial piety as an ethics of salvation, repaying ancestral spirits and the Supreme God is the path to salvation of individuals and ancestral spirits at the time of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and it functions as an important practical ethics that saves humanity. Sixth, in filial piety as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i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reme God and human, and ancestral spirits and descendant is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and fundamentally reestablishes the vertical and one-sided relationship structure of parents and children as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ased on Human Nobility.
    This study ca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filial piety practiced by believers of various new religions that follow the teachings of Jeung-san. Jeung-san’s filial piety ideology encompasses the tradition and modernity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can be a new alternative to the undemocratic, unequal, and non-autonomous characteristics known a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ilial piety. In this respect, his filial piety ideology has the significance of being able to resonate with modern people and providing voluntary motivation for practicing filial p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