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도의 사법상 법률문제 (Privatliche Rechtsprobleme von Privatweg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4.12
28P 미리보기
사도의 사법상 법률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법학 / 30권 / 2호 / 193 ~ 220페이지
    · 저자명 : 이병준

    초록

    1. 순수한 사법이 적용되는 사도의 경우에는 공로와 달리 일반 공중에게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계약관계 내지 법률규정에 의하여 인정되는 권리가 설정된 경우에만 특정인 또는 일반 공중이 이를 도로로 사용하거나 해당 토지에 도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문제는 많은 경우에 일반 공중 내지 국가 내지 지방자치단체에서 해당 토지를 도로로 사용하는 것을 용인하고 있다가 토지소유자의 필요에 의하여 양도된 후 양수인이 해당 토지의 사용을 막거나 그 사이 사용된 것에 따른 부당이득을 반환청구한 경우에 발생한다. 대부분의 소송은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여기서 주장되고 있는 권리는 법률에 규정된 것뿐만 아니라, 판례에서 인정되고 있는 특수한 법리가 있다.
    판례는 법률규정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전통적인 권리를 인정하는 것에는 다소 소극적이다. 통행지역권의 경우 묵시적 취득을 인정한 예가 없으며, 시효취득의 경우 토지소유자가 도로를 설치하여 관리할 것이라는 요건을 설정하여 제한적으로만 인정하고 있다. 또한 주위토지통행권의 경우에 사람의 통행이 기본이 되므로 토지이용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한도에서만 자동차 통행에 이 제도를 인정하고 있다.
    오히려 판례는 법률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권리를 더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관습법에 의한 통행권은 소송상 주장되기는 하였지만 판례에서 의하여 인정된 적이 없다. 하지만 판례가 적극성을 갖고 인정하여 부당이득반환을 인정하지 않은 이론이 배타적 사용·수익권의 포기이론이며, 이러한 포기의 효과는 토지의 특정승계인에게 미쳐서 해당 토지소유자 내지 승계인은 방해배제 및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판례이론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특유한 이론으로 문제가 많은 것으로 문헌상 지적되었다. 판례도 변경을 통하여 채권법적 효력만 있는 것으로 이론구성하였으나, 그 적용범위가 소유물반환청구의 경우로 한정되어 판시되어 현재는 부당이득반환청구의 경우에는 아직도 배타적 사용수익권의 포기이론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반 공중의 통행에 제공된 토지를 토지소유자가 아닌 자가 차단기를 설치하여 특정인의 통행을 방해한 사안에서 통행의 자유권을 인정하여 방해배제를 긍정하였다.
    2. 사도의 통행이 문제된 판례사례를 살펴보면 상당수의 사례가 지방자치단체 등 국가기관이 사인의 토지를 점유하여 도로로 이용한 경우이다. 그런데 수용절차 등 적법절차를 통하여 사권의 제한을 해야 하는 국가 내지 지방자치단체에서 통행지역권의 시효취득, 주위토지통행권 내지 배타적 사용수익권의 포기 등의 제도를 통하여 사인의 토지를 이용하게 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국민의 소유권이라는 기본권 보장 차원에서 순수한 사법만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영어초록

    Privatwege, die nur durch das Privatrecht geregelt werden, müssen nicht der Öffenlichkeit zur Nutzung als Straße gewährt werden. Daher bedarf es eines Rechts durch Vertrag bzw. gesetzliche Regelung um den Privatweg zu nutzen. Heufig wird eine Zeit lang die Nutzung von Privaten oder der Öffentlichkeit vom Eigentümer geduldet, aber danach will er oder der Neuerwerber vom Grundstück nicht mehr die Nutzung gewährleisten. Ferner wird im Prozeß auch unter Behauptung ungerechtfertigter Bereicherung die Wert der Nutzung zurückgefordert.
    Die Rechtsprechung ist dabei bei der Anerkennung der traditionellen Rechte eher zurückhaltent. Es gibt keinen Fall, in dem die Grunddienstbarkeitsrecht durch stillweigenden Erwerb anerkannt worden ist. Und ferner wird bei der Ersitzung des Grunddienstbarkeitsrechts von der Rechtsprechung gefordert, daß der Eigentümer des Grundstücks die Straße gebaut und verwaltet, so daß die Ersitzung nur begrenzt anerkannt wird. Beim Notwegsrecht ist es grundsätzlich der Druchgang von Menschen gemeint, so daß die Durchfahrt von Autos nur begrenzt anerkannt wird.
    Eher wird von der Rechtsprechung die nicht im Gesetz geregelten Rechte leichter anerkannt. Zwar wurde ein Durchgangsrecht aufgrund Gewohnheitsrecht von der Rechtsprechung nicht anerkannt, jedoch hat sie eine eigene Dogmatik der ausschlißlichen Aufgabe von der Nutzung und Gewinnertragung aufgebaut. Danach soll der Eigentümer das Recht der Nutzung und Gewinnertragung ausschließlich aufgeben können, so daß er keine Bereicherungsanspruch und Beseitigungsrecht ausüben kann. Die Aufgabe kann auch stillschweigend geschehen und sie soll dem Erwerber des Grundstücks weiter belasten können. Diese eigenartige Theorie der Rechtsprechung wurde von der Lehre stark kritisie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