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역사』(상)의 古代史 서술체계와 내용을 통해 본 韓國古代史像 (A Review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in Terms of Ancient Korean History and Its Structural Framework)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1.12
45P 미리보기
중학교 『역사』(상)의 古代史 서술체계와 내용을 통해 본 韓國古代史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1호 / 1 ~ 45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검인정제의 실시는 聖典으로서의 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조금이나마 탈피할 수 있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교과서마다 조금은 다른 역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관점의 차이도 문제이지만,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수정·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중학교 역사(상) 교과서를 검토한 결과, 한국사의 시작과 관련해서 민족과 국가 형성 문제, 그 이후 역사체로의 계승성 문제, 국가발전 단계, 고대국가 형성 문제, 남북국시대론 등 한국 고대의 역사상이 온전히 드러나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조선사와 관련해서는, 고조선에서 국가가 다 형성된 것처럼 설명하다가 고조선사는 사라지고 소국과 같은 철기문화를 가진 여러 나라가 등장하고 있어 맥락적인 서술이라고 보기 어렵다. 국가형성 부분에 대해 많은 교과서들에서 군장사회설을 언급하면서 연맹왕국설을 병용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다.
    중학교에서는 ‘통일신라와 발해’로, 고등학교에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남북국이라는 단원으로 되어 있다. 발해사가 한국사 속에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중학교에서도 ‘통일신라와 발해’라는 용어 대신에 ‘남북국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중학교 『역사』(한국사 영역)와의 계열성을 고려해서 근·현대사 중심의 『역사』(한국사로 변경)를 지향했다. 그러나 『한국문화사』의 부재로 인한 전근대사의 공백을 근현대사 중심의『한국사』에 편제하려다 보니, 결국 부실한 전근대사 서술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러한 분량의 절대적 부족을 감안하고 중학교 『역사』(상)과 고등학교 『한국사』의 서술 내용을 비교하더라도 큰 차별성이 보이지 않는다. 학생들의 역사인식 발달에 맞는 역사교육 및 교과서 서술이 되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설계도가 있어도 충분한 시간이 없으면 이를 실현할 수 없다. 현행 교과서는 검인정제로 인해서 여러 면에서 발전의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물리적 한계로 인해 아쉬운 부분도 많다. 잦은 교육과정의 개정은 역사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기보다는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역사교육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역사교육의 理想을 치밀하게 연구하고 진지하게 담아낼 수 있는 계획적인 교육과정과 교과서 편찬제도가 정착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introduction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has made a meaningful, albeit not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debunking the idea of textbook as a ‘holy book.’ On the other hand, each textbook suggests a somewhat different history. This is, of course, partially a matter of perspective. However, if some of the differences are due to either miscomprehensions or mistakes, those differences should be corrected.
    This paper offers a review of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History, Vol I,’ whose result confirms, as regards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the problem that ancient Korean history, in its entirety, is not presented in a balanced manner: issue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tion-state, the question of legitimacy and succession, the stages of state development,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states, and the ‘North-South States Period’ theory are neither adequately positioned nor organically discussed. Thus, further research and deeper discourse on this point are, now more than ever, needed.
    More specifically, to position the introduction of the ancient civilizations prior to the history of Gojoseon is a thoughtful gesture in that it allows students to situate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Be that as it may, the long-winded explanation of them, however, distracts students from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in an organized way. In order for them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tion-state, both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orld civilizations and Korean culture, along with its universal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should be mentioned instead of simply presenting the history of Gojoseo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ncient civilizations.
    With regard to the history of Gojoseon, the textbooks, at first, suggest that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tion-state was completed during the period and then state that small states with an iron culture appeared after the fall of Gojoseon, which can be hardly construed as a consistent description. Several books are employing the ‘stratified chiefdom society’ and the ‘confederative states’ theory together. This is an inaccurate usage of the terms.
    As regards the ‘the Silla-led unification’ and the ‘North-South States Period’ theory, while ‘Unified Silla and Balhae’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itle in middle school, most of the high school textbooks designate it as ‘North-South States Period.’ In order for the history of Balhade to take strong root in Korean history, middle school textbooks, too, should use the title ‘North-South Period’ rather than ‘Unified Silla and Balhae.’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7, the high school curriculum, in light of maintaining continuity with the middle school textbook History (Korean history section), has chosen early and modern history-centered ‘History’ (changed into Korean History). Yet, since it has not allocated any space to Korean cultural history, it has tried to fill out the blank with a history of Korea whose focus is disproportionally on the early and modern periods. The coverage of the pre-modern periods, thus, has become, at best, insufficient. Considering this absolute insufficiency in volume,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 school textbook History, Vol I and the high school one Korean History. Curriculums and textbooks that correspond with the different stages of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 need to be developed.
    However good a blueprint might be, if it is not given enough time to be prepared, it can never be properly carried out. Thanks to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the textbooks now in use have improved in many aspects. But they, at the same time, contain a number of shortcomings caused by some external obstacles. Frequent curriculum revisions, first and foremost, have been bringing about serious issues and as a result hampering the development of history education rather than leading it in the right direction. Hopefully, an elaborated curriculum textbook and a publishing system that reflect on the ideals of history education and embrace them, in not too distant future, will be firmly establis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