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 민법상 무효(nullité) (La nullité en droit civil françai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3.05
34P 미리보기
프랑스 민법상 무효(nullit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0권 / 1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남궁술

    초록

    프랑스 민법에서 무효(nullité)란 일반적으로 “성립상의 결함이 있는 계약의 소급적 소멸”로 정의된다. 반면 우리나라는 무효를 「법률행위의 성립 시부터 법률상 당연히 그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무효에 관한 개념상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차이로 나타난다. 첫째, 우리는 당연무효를 원칙으로 함에 비하여, 프랑스는 실질적으로 재판상 무효만을 인정하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는 당연무효에 기초하여 무효의 시간적 한계를 규정하지 않고 있으나, 프랑스는 무효에 시효를 적용하고 있다. 셋째, 절대적 무효의 경우, 우리나라는 모든 사람에 의해 주장될 수 있다고 보는데 비해, 프랑스는 모든 이해관계인에 의해 제기될 수 있다고 함으로서, 국가기관을 제외한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는 제3자는 ‘절대적 무효’의 소를 제기할 수 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논리상 또는 관념상으로 볼 때, 무효는 법률행위의 효력 요건이 결여된 것이기 때문에, 당연무효의 법리가 보다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실제적인 면에서 볼 때, 「무효 분쟁은 결국 법원의 판결에 의해서만 정리될 수 있다는 법 현실」을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민법 자체가 그러하듯이, 민법이 규정하고 있는 규범은, 논리나 이론에 의한 전개보다는, 역사적 전개에 의해 형성되었다. 논리나 이론은 단지 이들 규범의 현실적 적용을 합리화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종래의 어떠한 규범이 사회 현실에 적합한가이고, 부적합하다면 과감히 해당 규범의 요건이나 효과를 정하는 이론체계를 수정해야 하는 것이 법률가의 바람직한 태도이고, 또 이러한 방향에서 민법은 장구한 역사적 변천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본다.
    무효에 관한 프랑스적 접근 방식과 우리나라나 독일의 접근 방식 중 무엇이 보다 현실에 적합한가를 속단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 문제에 관해 깊이 있게 검토해 보는 숙고의 과정은 충분히 필요하지 않은가 생각된다.

    영어초록

    En France, la nullité est définie comme "une anéantissement rétroactive d'un contrat entaché d'un vice de forme ou d'une irrégularité de fond". Mais, en Corée, la nullité est définie comme nul effet juridique de plein droit dès la formation d'un acte juridique.
    Cette différence conceptuelle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entraîne certains différences concrètes et importantes, concernant la nullité, comme ci-après.
    En premier, à la différence de la nullité coréenne qui est en principe une nullité de plein droit, la nullité française est une nullité judiciaire. En second, la Corée ne limite pas en principe du temps pour intenter une action en nullité en se fondant sur le concept de nullité de plein droit, par contre, la France applique la prescription pour l'action en nullité. En troisième, à la différence de la Corée où la nullité absolue peut ê̂tre invoquée par toute personne, en France, la nullité absolue ne peut ê̂tre invoquée que par tout intéressé, c'est-à-dire que des tiers vraiment étrangers au contrat ne puevent agir en nullité.
    Du point de vue logique ou conceptuelle, il semble que la théorie de la nullité de plein droit soit rationnelle. Cependant, du point de vue réelle, il est à noter que la réalité juridique selon laquelle le conflit sur la nullité ne pourrait ê̂tre définitivement mise en ordre que par le jugement judiciqire.
    Les normes du droit civil se constituait plutô̂t par le développement historique que par le développement théorique ou logique, comme le droit civil lui-mê̂me. La logique ou la théorie n'est qu'un moyen de rationnaliser l'application réelle de ces normes. Le plus important est de questionner si un certain norme est conforme à la réalité sociale. S'il n'y est pas conforme, il est nécessaire de réviser la théorie qui détermine les effets et les conditions de ce norme. De telle direction, le droit civil se constituait via le procesuss du changement historique.
    Il est très difficile de juger définitivement quel est plus conforme à la réalité juridique entre le moyen d'approchement à la nullité de la Corée et celui de la France. Cependant, il semble qu'il soit le temps d'y bien réfléchi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