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기후에 의한 해안가 상경기(商景氣) 침체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waterfront economic revitalization during the time of climate chang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09
11P 미리보기
이상기후에 의한 해안가 상경기(商景氣) 침체 활성화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관광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관광연구저널 / 33권 / 9호 / 5 ~ 15페이지
    · 저자명 : 이웅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기후로 인해 침체된 우리나라 해안지역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데 두었다. 그 결과, 활성화 방안으로서 예방적 차원에서의 공무원에 대한 이상기후의 인식전환 교육을 강조했고, 이상기후에 선제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연계할 수 있는 위기관리체계 운용의 ‘이상기후 담당 국가안보센터’의 신설을 제시했다. 또한, 이상기후 대비단계 방안에서는 해안가 녹지면적 확대전략의 위험완화전략과 병의원 상설 운영의 위험전가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구단계 방안으로는 우리나라 해안지역의 강⋅계곡, 산⋅산림, 커피⋅맥주, 장비 사용 해양레저스포츠 발굴 등으로 해안가 관광지의 탄력성 및 유연성확보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상기후로 인해 침체된 해안가의 상경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은 개인이나 기업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우리 사회 전체 사회 안전망 시스템에 의해서 추진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 등으로 특화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제시된 방안의 활용가치를 실무적으로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장기간의 이상기후는 사회부담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선제적인 대응이 중요함을 본 연구는 인식시켜 주고 있다. 폭염으로 인해 관광객 개인의 안전한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쾌적한 관광활동에도 크나큰 불편을 초래하고, 관광지 및 관광공급업자들의 경영환경에도 급격한 변화를 발생시키며 궁극적으로는 해당 지역사회 및 경제를 침체시킨다는 점에서도 이에 대한 대책마련과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폭염 등의 이상기후로 인한 해안가 상경기 침체 문제는 계속해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본 연구가 제시한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실무적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폭염 예비특보 활성화 및 홍보 그리고 고온건강경보시스템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우리나라 해안지역과 같이 기후변화에 취약한 해안가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개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상대적으로 이상기후에 취약한 영세자영업자 계층에 대한 리스트 작성이다. 해안지역 등에 자리 잡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해양관광공급업자들은 매우 영세하며 생계형이며, 동시에 가족중심형 업체라는 점에서 적극적인 대응책을 행정과 정책측면에서 고려하지 못한다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세 번째는 해안가 주변의 마을경로당 등의 공공기관이나 병의원 등에 유사시를 대비한 무더위 쉼터를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곳은 반드시 에어컨이 가동가능한 장소만을 무더위 쉼터로 지정해야 하고,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공공기관의 냉방허용온도도 하향조절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폭염장기화시 국공립 도서관 및 체육시설 등도 무더위 쉼터로서 추가 지정하고, 포털 지도서비스와 연계를 통한 위치정보제공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는 폭염 등의 이상기후로 아예 해안지역 방문을 꺼리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해안가 상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상기후에 대응 관련 관광전문 인력과 주요 관련기관들의 협력체계도 동시에 구축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지속적인 사업을 추진할 우리나라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이상기후 대응 관광정책 전담 부서 설치와 전문 인력의 양성과 육성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더불어 이와 같은 연구가 학계에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관광업계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waterfront tourism, which has stagnated due to climate change. As a result, a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education concerning transition due to climate change for public officials at the preventive level as an activation plan. Second, w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security center for climate change as a crisis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eemptively and systematically respond to the problem. Third, risk mitigation strategies for the expansion of green areas along the coast and risk transfer strategies for the permanent operation of hospitals were suggested. Finally, strategies for securing the resilience and flexibility of waterfront tourism sites were suggested. There are some things that can be done at an individual or company level to increase waterfront visitation during the climate crises, but they should be promoted by the whole social safety net system.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increase the practical value of the proposed measures. In particular,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a preemptive response in that long-term climate change is a social burden. First, abnormal climate such as heat waves threatens the health of people. Second, it also lessens the enjoyment of tourists. Third, the management environment of tourism and tourism suppliers can change drastically. Fourth, the local communities can stagnate economica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and research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관광연구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