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역대 문집에 나타난 명승(名勝) 서새산(西塞山) 향유방식과 의상(意象)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s of Enjoying Xīsāishān Mountain, Scenic Site and Euisang(意象: Images) of it Shown on a Number of the Historic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06
10P 미리보기
한중 역대 문집에 나타난 명승(名勝) 서새산(西塞山) 향유방식과 의상(意象)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40권 / 2호 / 24 ~ 33페이지
    · 저자명 : 박소현

    초록

    역대 문인들의 문집에 존재하는 유기문(遊記文) 내지 산수시(山水詩)는 명승과 깊은 관련이 있는 사료로, 이는 창작자의 개인 성정(性情)과 경험, 학습 이력 등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이러한 작품은 의상(意象)을 통해 각기 시문의 성격과 주지, 인지 대상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진행된 우리나라 역대 문인들이 사랑하고 애송하였던 어부사(漁父詞)의 시원(始原)이 되는 서새산(西塞山)의 의상(意象)과 관련하여 한중 문인의 서새산 향유방식과 의상으로 나타난 인식의 차이는 곧 시에 나타난 지리적 위치 차이와도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중 역대 문인의 시문에 나타난 명승 서새산을 향유하는 방식은 크게 직접 명승을 마주하거나 정신적인 사유 구조 속에서 명승을 향유하는 방식으로 대별된다.
    2. 오흥(吳興) 서새산(西塞山)은 장지화(張志和)의 「어가자(漁家子)」의 배경이 되는 곳으로 수려한 자연풍광과 함께 유가(儒家)의 호학(湖學)이 발원한 곳으로 순후(淳厚)한 사풍(士風)이 유존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에 이곳을 배경으로 음영한 서새산의 의상은 도가(道家)의 초탈(超脫) 은둔(隱遁)과 유가의 안분지족(安分知足)으로 구현된다.
    3. 무창(武昌) 서새산(西塞山)은 군사 요충지로서 험준한 산세와 풍광으로 역대 격전지이자 충신 굴원과 관련 전고가 있는 지역이다. 이에 무창 서새산의 의상은 험준한 요새로서의 자연풍광, 유가의 우국충정으로 대별된다.
    4. 우리나라 문인의 서새산 향유 방식은 신유(神遊)로, 작자의 가치관의 지향점에 따라 의상이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우리나라 서새산의 의상은 본래 도가적 초탈의 면모를 지닌 장지화를 바탕으로 나타나며, 당나라 시승 제기(齊己)와 김시습이 음영한 서새산 의상은 ‘색공일여(色空一如)’, ‘견성성불(見性成佛)’과 같은 불교의 구도(求道)적 색채를 띤 모습으로 나타난다.

    영어초록

    The travel notes and nature poems found in historic literary men’s works can be considered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scenic sites. Such travel notes and nature poems are based on the writers’ personal characters, experiences, learning and etc. Such works clearly show the characters of each 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related objects and the writers’ thoughts of the objects. This study, thus, looked into Euisang on Xīsāishān Mountain that could be the origin of Eobusa(漁父詞) loved and sung by Korean historic literary men, and found that the Korean and Chinese literary men’s thoughts were shown through their ways to enjoy Xīsāishān Mountain and their Euisang on the mountain, which was different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literary men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locations described in their poems. In detail, the study results are: 1. Such difference of the ways to enjoy Xīsāishān Mountain, the scenic site described in historic Korean and Chinese literary men's work is broadly classified into the ways to enjoy the scenic site by seeing it in person and the ways to enjoy it under the mental structure of speculation.
    2. Xīsāishān Mountain in Wuxing is the background of Yújiāzi(漁家子) of the painting Zhāngzhìhé, is boasting its distinguished beautiful nature, and is the place where the Confucian Study of Hú(湖學{) was originated. It is also the place known of its warmhearted climate. Therefore, Euisang on Xīsāishān Mountain under such beautiful and warmhearted circumstance are realized as the complete freedom and seclusion in Taoism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given environment and position in Confucianism.
    3. Xīsāishān Mountain in Wǔchāng is a military strategic point with rugged mountain terrain and scenery that has been a historic ferocious battlefield and related with the loyal civil servant QūYuán. The Euisang on Xīsāishān Mountain in Wǔchāng, therefore, represents the nature scenery of a rugged fortress and patriotism of Confucianism.
    4. The Korean literary men’s way to enjoy Xīsāishān Mountain is Shinyu(神遊: spiritual travel), so that their Euisang is form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riter's values. Especially it is noted that Korean Euisang on Xīsāishān Mountain is originally based on the painting Zhāngzhìhéthat shows the complete free mood of Taoism; and the Euisang on Xīsāishān Mountain that came from the mindful image by the poet monk Qíjǐof Tang dynasty and Kim Si-seup appears with such Buddhist ways to seek the truth as SakGongIlYeo(色空一如: Being full is essentially as same as being vacant) and GyeonSeongSeongBul(見性成佛: Everybody can become Buddha by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