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 ·19세기 武官 盧尙樞의 禁養活動 (Geumyang(禁養: Forest protection) Activity of Military Subject No-Sangchu(盧尙樞) of the 18th and 19th Centu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7.12
39P 미리보기
18 ·19세기 武官 盧尙樞의 禁養活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63호 / 263 ~ 301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형

    초록

    이 글은 18,19세기 善山府 출신 무관 盧尙樞의 역정을 기록한 『盧尙樞日記』를 토대로, 다방면에 걸친 그의 禁養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朔州府使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던 그는 고향을 떠나 서울이나 임지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지만, 잠시 고향에 돌아와 머무는 동안에는 墳山수호나 문중 일 이외에 금양활동에도 상당한 관심을 쏟았다. 그런데 노상추와 그의 부친은 선산부 내의 여러 마을로 옮겨 거주했던 인연으로 인해 해당 마을의 금양 문제에도 간여하게 된다. 게다가 분산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어 분산수호나 분산의 산림을 금양하는 활동도 여러 곳에 걸쳐 나타나게 된다.
    노상추는 분산 침범을 막기 위해 각 분산에 산직을 두어 묘와 금양목을 보호하려 했다. 그의 분산에 대한 적극적인 금양활동은 여러 곳에 걸치지만,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부친의 묘가 자리한 백련동에 대한 금양활동이다. 그는 금양을 위해 분산 주위나 집 부근에 수목이나 그 씨앗을 심어 금양목을 조성하기도 하였다. 분산에서 금양한 수목이나 수초를 문중 사업이나 자신의 소용처에 사용하거나 판매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하기도 하였다.
    노상추는 마을 단위의 여러 금양활동에도 적극적으로 간여하였다. 자신이 거주하지 않던 省谷洞의 금양활동 이외에 月鶴松稧 및 그가 별업을 조성한 白雲洞의 송계에도 적극적으로 간여하였다. 이처럼 그는 자신이 사는 동네 및 간접적 관련이 있는 동네의 금양활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려고 노력하였다.
    그의 금양활동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자신의 고향, 자신이 사는 면 지역에 접한 華山과 冷山이라도 封山으로 지정하여 금양을 강화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그래서 노상추는 1825년부터 양 산의 봉산지정을 위한 활동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그 해 8월 노상추는 수령을 만나 설득하고 주민으로 하여금 정소하게 하였다. 1826년 6월 감영에서도 이를 허용하는 절목을 만들어 내려보냈다. 그런데 난데없이 향교가 제동을 걸고 나서 일이 무산되는 듯했다. 그러다가 1828년 6월 화산․냉산 골짜기를 비롯한 곳곳이 비로 인해 산사태가 나고 주민이 피해를 입자, 노상추는 다시 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간여하기 시작한다. 면민들이 관아에 정소하여, 관에서 면민의 금양을 보장하는 문건이 내려졌다. 양 산 금양과 관련된 완의․절목 등이 마련되기도 했다. 노상추의 노력이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Geumyang activity of No-Sangchu in various aspects, who was a military subject from Seonsangun(善山郡)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based on 『No-Sangchu’s diary』, which recorded his life. No-Sangchu, who was engaged in several public posts such as Sakjubusa, etc., normally resided in Seoul or the place of appointment out of his hometown, however he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Geumyang activity besides Bunsan(墳山) protection or clan affairs while he was staying at his hometown for a while. However, due to the occasion that he stayed in various villages with his father, he was involved in Geumyang matter of the relevant village. Moreover, since Bunsan was scattered over several places, Bunsan protection or Geumyang activity of the forest of Bunsan appeared through several places.
    No-Sangchu intended to protect the tombs and Geumyangmok by placing Sanjik(山直) in each Bunsan to prevent invasion of Bunsan. Also, he established Geumyangmok by planting trees or the seeds around Bunsan or the house for Geumyang. He accumulated wealth by using for his use or selling the trees or the water plants planted at Bunsan.
    No-Sangchu was actively involved in several Geumyang organizations in village unit. He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Wolhaksonggye(松契) and Baegundong songgye besides Geumyang activity of Saenggokdong. Also, he participated in Geumyang activity in Myeon(面) unit. This way, he tried to push on his position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village Geumyang activity with interest for his village and indirectly related village.
    His Geumyang activity did not stop at this. He believed that Geumyang should be enhanced by designating even Hwasan(華山) and Naengsan(冷山) nearby Myeon region where he lived as Bongsan(封山). Therefore, He regularly started the activity for designation of Bongsan in two mountains since 1825. In August of that year, he enacted and transmitted Jeolmok of permission on this from Gamyoung in June, 1826 by persuading the village leader in August of that year and making him report it. Nevertheless, it was about to be stopped since Hyanggyo opposed it all of a sudden. Meanwhile, as the residents were damaged by the landslide due to he rain in various places including Hwasan․Naengsan valley in June, 1828,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is matter again. As Myeon residents officially suggested the government office, an official paper was handed down by the government guaranteeing Geumyang of Myeon residents. Here, Wanui(完議), Jeolmok(節目) etc. were prepared related to Geumyang in two mountains. Eventually, No-Sangchu’s efforts got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