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조선전기 거가환궁 영접행사 연구 - 기로·유생·교방 삼가요(三歌謠)의 성립을 중심으로 (The Reception Ceremony for the King Returning to the Palace - Focused on the Formation of the Three Kinds of Songs (Samgayo,三歌謠): the Songs by Senior Scholar-Officials over 70 (Giro Gayo,耆老歌謠), the So)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0.08
52P 미리보기
고려·조선전기 거가환궁 영접행사 연구 - 기로·유생·교방 삼가요(三歌謠)의 성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1호 / 77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은영

    초록

    최고통치자인 왕이 다양한 목적으로 출궁한 뒤 환궁하는 행위는 절대권력의 무사 귀환, 즉 왕조의 존속을 의미하므로 상징적인 행사를 수반할 필요성이 있었다. 거가환궁 영접행사는 이러한 목적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정치행위이자 대규모 공연예술이 연행되는 축제적 성격도 아울러 지녔다.
    거가환궁 영접행사는 고려시대에 서경과 남경을 순행한 후 환궁하는 왕의 영접행사로 명문화하였다. 이때 교방악관 100명과 안국기 40명, 잡극기 160명이 함께 하는 대규모 공연예술이 행해졌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관현방과 대악서, 양부의 결채백희와 국자감 유생의 가요로 대별되었다. 고려후기에 이르면 양부의 결채백희 대신 교방의 가요로 축소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시대로 이어졌다. 국초에는 고려시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목적의 행행에도 환궁 영접행사가 이루어졌으나 『세종실록·오례』에 이르러 ‘흉례·부묘의’에 실림으로써 국가전례로서 자리잡았다. 실질적인 왕위 계승의 의미, 가장 까다롭고 복잡한 흉례 절차를 무사히 마무리한 것을 축하하는 의미 등 부묘의가 가지는 상징성으로 인해 연등, 팔관 등의 국가 차원의 축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부묘에 있어서만큼은 그 전통이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거가환궁 영접행사는 의금부·군기감의 ‘채붕나례’와 기로·유생·교방의 삼가요(三歌謠)로 이루어진다. 이중 본고에서는 후자를 대상으로 성립 과정과 공연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유생과 교방의 가요는 고려시대에 이미 행해졌으며, 태종 즉위 초에 확립된 기로 가요의 전통은 단종 2년(1454) 문종과 현덕왕후의 신주를 부묘할 때 부묘의 후 거가환궁 영접행사의 일환으로 포함됨으로써 삼가요(三歌謠)의 전통이 구축되었다. 이들 삼가요는 검박함을 강조하는 조선왕조의 통치이념에 반하여 부묘시마다 설행 여부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았다. 대개 침향산과 같은 거대한 구조물이 요구되고 여악(女樂)이 수반되는 교방의 가요는 자주 생략되었으며, 기로와 유생의 가요 역시 가요를 적은 시축만 올리는 헌축(獻軸)으로 대체되었다.
    교방에서 올리는 가요는 『악학궤범(樂學軌範)』 권5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에 자세히 전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있는 반면, 유생과 기로의 가요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하다. 유생과 기로의 가요는 단순히 가요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채붕을 설치하여 전국에서 수집한 진귀한 물건 등을 진열하고 각종 잡희까지 연행하는 대규모 연행예술이었던 점에서 공연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영어초록

    The king journeyed outside the palace for various purposes and upon his return to the palace, a symbolic event followed as a token of appreciation for the safe return of the sovereign ruler or for the continuation of the dynasty. The reception ceremony for the king returning to the palace could be regarded as a political act projecting the gratefulness, and a festival holding a large-scale performanc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reception ceremony for the king returning from the royal tour of Seogyeong(西京) and Namgyeong(南京) was specified as follows: holding the great performance with 100 musicians of Gyobang, 40 performers of the An-gukgi(安國伎) troupe, and 160 performers of the Jabgeukgi(雜劇伎) troupe; in the Bureau of Court Music(Gwanhyeonbang, 管絃房 and Dae-akseo, 大樂署), installing the festively adorned stage(Gyeolchae, 結綵) and holding various entertainment performances(Baekhui, 百戱); in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Gukjagam, 國子監), presenting the Yusaeng Gayo. In late Goryeo, however, the ceremony became smaller by substituting Gyeolchae and Baekhui for the Gyobang Gayo.
    The tradition of Goryeo’s reception ceremony had been preserv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but later came to be established as part of the Royal Ancestral Temple Enshrinement Ceremony of the State Funeral according to stipulation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The Enshrinement Ceremony marked that the complex funerary rites had been concluded without any problems and that the new king practically ascended the throne. Thus, the reception was still held for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Enshrinement Ceremony, although many other national festivals were abolished. The reception ceremony of Joseon consisted of two events: installing the festively adorned stage (Chaebung, 綵棚) and holding various performances with the exorcism ritual (Narye, 儺禮); conferring the Samgayo upon the king. This paper deals with the formation of the latter and aspects of its performances.
    The tradition of presenting the Samgayo was formed in the Joseon dynasty; The Yusaeng Gayo and Gyobang Gayo had started in the Goryeo dynasty, while the Giro Gayo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reign of King Taejong(the third king of Joseon) and was included in the reception ceremony for the king returning to the palace following the Enshrinement Ceremony in 1454. However there were constant debates whether to perform the Samgayo Presenting Ceremony because the state ideology of Joseon emphasized frugality. Thus, the Gyobang Gayo Presenting Ceremony was often skipped since it required large-scale implements and female entertainers, and the Ceremonies for presenting the Giro Gayo and Yusaeng Gayo were also reduced by omitting the entertainments involved in them and replacing them with the event of offering up the scroll including the lyrics of the songs.
    The Gyobang Gayo is recorded in detail in the Akhakgwebeom(樂學軌範), the Manual of Musicology or Musical Canon and many researches on it have been conducted. The Yusaeng Gayo and Giro Gayo, on the other hand, have been inadequately studied. However the Ceremonies for presenting the Yusaeng Gayo and Giro Gayo involved installing Chaebung for holding the great performance of various entertainments and the display of rare and precious objects. In this regard they have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of performing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