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전법륜설’의 해석학적 지평으로 본 삼성설의 구조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from the Hermeneutic Perspective of “the Three Turns of the Dharma Cakr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1.02
21P 미리보기
‘3전법륜설’의 해석학적 지평으로 본 삼성설의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17권 / 35 ~ 55페이지
    · 저자명 : 김재권

    초록

    이 논문은 『유가론석』이나 『석궤론』 등 인도의 초기 유식논서에 보이는 『해심밀경』의 ‘3전법륜설’에 대한 유가행파의 해석학적 입장이나 그 사상적 특징을 해명한 후, 이러한 해석학적 입장이 유식학파의 주요교설 가운데 이제설이나 삼성설 등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우선 ‘3전법륜설’은 『반야경』 계통의 공사상을 미료의로 설정하고, 용수를 대표로 하는 초기중관파를 제2시로 설정하고 있는 점을 그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3전법륜설’의 구체적인 내용은 유가행파가 용수의 이제설 가운데 세속제의 영역을 좀 더 세분화하고, 즉 세속을 언어적인 표현으로만 존재하는 것과 실재로서 존재하는 세속으로 구분하여 의타기성을 기반으로 한 삼성설의 구조를 통해 ‘허무론이나 악취공’에 떨어지지 않는 공사상의 교설 체계를 새롭게 확립시키고 있는 점에서 확인된다.
    한편 ‘3전법륜설’의 해석학적 입장은 『중변론』의 허망분별의 구조 속에 그대로 계승되어, 안혜의 주석에서 보이듯이 교리적으로 확립되어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우선 세속적 실재로서 새롭게 확립된 ‘허망분별’은 의타기성으로 설정되고, 특히 의타기성인 허망분별은 유부의 실체론적인 <有見>과 세속적 실재인 의타기성을 손감하는 중관파의 <空見>을 비판적으로 지양하는 입장에서 설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안혜의 주석에 제시된 5종의 견해를 보면, 삼성이 초기불교 이래의 모든 교설체계를 통합하려는 의도에서 근본 진실로 다시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삼성설은 기본적으로 허망분별을 기반으로 확립되었고, 그 허망분별의 구조 속에 유식적인 이제가 도사리고 있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사실 그것에는 유가행파의 독특한 실재관이나 진리관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clarify the doctrinal characteristics of the Yogācāra school's hermeneutic interpretations of the "theory of the three turns of the Dharma Cakra"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through early Indian Yogācāra treatises such as the Yogācārabhūmi-vyākhyā and the Vyākhyāyukti. It will probe how these interpretations apply to the theory of two truths or that of three natures(trisvabhāva) among the main doctrines of the Yogācāra school.
    Especially, the peculiar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the three turns of the Dharma Cakra" is such that the thought of śūnyatā in the lineage of Prajñāpāramita-sūtras is regarded as incomplete, as the early school of Madhyamaka represented by Nāgārjuna is conceived of as belonging to the second period of turn.
    Speaking of the further details of the "theory of the three turns of the Dharma Cakra", the Yogācāra school subdivides the realm of saṃvṛti satya in Nāgārjuna's theory of two truths; that is, it divides the saṃvṛti into merely linguistic existence and actual existence, and the thus-created structure o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on the basis of other-dependent nature(paratantra-svabhāva) makes it possible to establish the doctrinal system of the thought of śūnyatā that is not subject to "nihilism or śūnyatā attached to evil."In effect, the above hermeneutic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the three turns of the Dharma Cakra" is inherited into the structure of the abhūtaparikalpa in the Madhyānta-vibhāga so that, as seen in the commentary of Sthiramati, it is ascertained to apply to later doctrines through its secure establishment. To summarize its characteristics succinctly, firstly the abhūtaparikalpa newly established as a saṃvṛti-satya is set up as the other-dependent nature, which is seen to have been set up particularly in order to sublate both the Sarvāstivāda's realist "view of being" and the Madhyamaka's "view of śūnyatā" that impairs the other-dependent nature as a samvṛti-satya.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five kinds of views suggested in Sthiramati's commentary, the three natures are seen to be presented as the fundamental truth in order to unify all the doctrinal systems available ever since the beginning of Buddhism. Then, the theory of three natures is established principally on the basis of the abhūtaparikalpa, while the two truths of the Yogācāra school are clearly ascertained to have been embedded in the structure of the abhūtaparikalpa. In fact, this might be understood to reflect the unique ontological view of reality or truth in the Yogācāra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