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서산·사명 진영과 삼대사 진영의 형성과 변화 (Charting the Formation and Shifts within the Portrait Painting of the Great Masters Seosan and Samyeong and the Portraiture of the Three Great Monk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서산·사명 진영과 삼대사 진영의 형성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7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이용윤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서산진영과 사명진영을 역사적 맥락에서 원형을 추정해 보고 진영의 형식 전승, 변화, 확산을 승려 문중의 인식, 문중 간의 성쇠에 따른 경쟁과 공존이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변화의 요소로 표충사 사액과 삼대사진영 등장에 주목하였다. 서산휴정과 사명유정이 입적하던 시기에 진영은 묘향산 보현사 내원암과 가야산 해인사 홍제암에 모셔졌다. 두 진영 중 원형과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진영은 해인사 홍제암의 사명진영이다. 이 진영은 1671년 사건으로 진본은 사라졌지만, 기억을 통한 모사가 이루어졌고 이 과정 중에 화승의 화풍이 반영되었지만, 의좌상에 가부좌한 자세, 양손으로 불자를 든 고유한 표현은 사명문중의 세거 사찰에 봉안된 <동화사 사명진영>(17세기 말), 삼대사진영 체재로 제작된 <해인사 홍제암 사명진영>(18세기), <보경사 사명진영>(18세기 후반)을 통해 전승되었다. 보경사는 <사명진영>을 스승인 <서산진영>과 보경사 창건주 <원진국사진영>과 함께 제작해 역사와 사명문중의 법통을 세우는 동시에 사명유정을 <보경사 삼장보살도>에 호법신으로 표현해 신격화하였다. 표충사는 초기에 사우를 짓고 사명진영을 모시고 춘추 제향하는 방식에서 시작하여 1738년에 태허남붕이 추진한 표충사 불사로 서산진영과 기허진영이 합향되면서 삼대사진영이 완성되었다. <표충사 사명진영>에는 1773년에 장황을 개조한 기록이 적혀 있으며, 화풍과 표현기법으로 보아 <사명진영>은 1773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표충사 삼대사진영>은 사승 관계와 상관없이 <사명진영>을 중앙에 두고 <서산진영>은 측면에 두어 제자를 바라보는 방식으로 배치하였다. 또한 <사명진영>은 의자에 앉아 두 다리를 내려뜨리고 한 손은 불자를 쥐고 다른 손은 손잡이에 걸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서산진영>과 <기허진영>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표충사 사명진영>에서 나타나는 이 고유한 표현은 편양파 출신인 월암지한이 봉안한 <봉정사 사명진영>(1768)에서 확인되며, 이후 <용추사 사명진영>(1781), <통도사 사명진영>(19세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조선 후기에 조성된 서산진영과 사명진영, 삼대사진영은 불교계와 사회의 변화에 반응하며 변화하였다. 그 변화의 방식은 때로는 문중의 정체성과 실리적 목적에 따른 전승이었으며 그 속에서는 진영을 조성 봉안한 주체들만이 공유했던 고유한 표현이 존재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trapolates archetypes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eosan (Seosanjinyeong) and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Samyeongjinyeong)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roceeds to examine the transmission, evolution, and proliferation of portraiture techniques from the viewpoint of competition and coexistence according to perceptions of certain monastic clans and the waxing and waning of power among them. To this end, the study focuses on the portraits of Great Master Samyeong housed at the Hongjeam Hermitage of Haeinsa Temple and at Pyochungsa Temple to delve into the modes of expression distinct to these portraits. It accordingly finds that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at the Hongjeam Hermitage of Haeinsa Temple is unique in its archetypal delineation of a lotus position assumed while seated in a chair and in the shape of both hands holding a monk’s duster. This contrast reveals itself in comparison with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late 17th century) at Donghwasa Temple in Daegu;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which constitutes part of the Portraits of the Three Great Monks (Samdaesajinyeong) (18th century) at the Hongjeam Hermitage of Haeinsa Temple; and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late 18th century) at Bogyeongsa Temple in Pohang. The temples in which are enshrined the portraits of the Hongjeam Hermitage at Haeinsa Temple lineage are all places where the Samyeong monastic clan have resided. In the case of Pyochungsa Temple, it first housed its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before placing it in conjunction with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eosan and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Giheo (Giheojinyeong) to enshrine the Portraits of the Three Great Monks after 1739. Within the Portraits of the Three Great Monks (1773) at Pyochungsa Temple, all three subjects are seated in chairs with both feet on the f loor, holding in one hand a monk’s duster and placing the other on the armrest of the chair. This distinct composition originates from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central to the Portraits of the Three Great Monks. The mode of expression used in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at Pyochungsa Temple also crops up in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1768) at Bongjeongsa Temple in Andong, home to the Pyeonyang monastic clan. In addition, it later influenced the Portrait of Great Master Samyeong (1781) at Yongchusa Temple in Hamyang and its (19th century) counterpart at Tongdosa Temple in Yangsan. We therefore see that these portraits at the Hongjeam Hermitage of Haeinsa Temple and at Pyochungsa Temple exhibit modes of expression distinct from one another and have been respectively enshrined at the domiciles of the Samyeong and Pyeonyang monastic cl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