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권위주의 통치와 삼권분립 (Putin’s Authoritarian Rule and Separation of Pow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09
34P 미리보기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권위주의 통치와 삼권분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연구 / 23권 / 3호 / 125 ~ 158페이지
    · 저자명 : 정희석

    초록

    푸틴의 권위주의 통치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삼권분립 시스템이 사실상 와해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푸틴은 ‘초대통령제’라는 권력구조를 활용하여 다른 헌정기구의 상위에 존재하며 권력을 독점함으로써 입법부와 사법부의 역할을 제한하고 있다. 러시아 국민들 또한 전통적인 온정주의 정치문화로 인해 삼권분립보다는 푸틴 대통령에로의 권력 집중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푸틴이 집권하는 동안 정당정치가 미발전한 상태에서 친정부 정당인 통합러시아당은 권력정당과 패권정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입법부는 푸틴 대통령과 행정부에 의해 사실상 장악되어 이들이 제출하는 법률안을 통과시켜주는 거수기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치고 있다. 푸틴정부가 친정부인사를 재판관에 임용하고 ‘전화재판’과 같은 소비에트식 통제방식을 동원한 결과, 사법부는 ‘정치화’ 되어 푸틴의 권위주의 통치를 정당화·합법화하는 일종의 통치도구로 전락하였다.
    푸틴의 권위주의 통치 아래서는 삼권분립 시스템의 정착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 푸틴은 헌법수정을 통해 현대 러시아사에서 최장기집권을 도모하고 있다. 푸틴정부의 부정부패도 만연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 체제변혁은 러시아 국민들의 몫으로 남아 있다. 최근 들어 다행스럽게도 시민사회가 저항적 성격을 띠면서 재활성화되고 있다. 러시아 국민들 스스로가 정치개혁의 목소리를 결집시켜 시민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간다면, 러시아가 권위주의 체제에서 벗어나 삼권분립이 보장되는 민주주의 사회로 전환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characterizing Putin’s authoritarian rule is the fact that the system of separation of powers has been in a state of de-facto collapse. Using the constitutional order called ‘superpresidentialism’, Putin has enabled himself to monopolize power dominating other constitu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legislature and judiciary. Russian people, in the conventional paternalistic political culture, have also shown favor to the concentration of power to Putin than to separation of powers.
    During Putin’s years in power, United Russia, the pro-government party, has played a role of a party of power and hegemonic party with party politics in general undeveloped. As a result, the legislature has ended up being merely a rubber stamp for President Putin and his administration. Also, the judiciary, politicized by the administration using a soviet style control such as ‘telephone justice’, has become a kind of governing instrument legitimating Putin’s authoritarian rule.
    Under the rule of Putin’s authoritarianism, it seems separation of powers can not be expected any longer. Putin is planning to be in power longer than anyone else in Russia’s history by amending the constitution, while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are prevalent in the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a possible regime shift depends solely on the people of Russia. Rebellious civil society, fortunately, has recently begun to revive itself. It would not be impossible for Russia to change to a democratic society with separation of powers secured as long as Russian citizens are determined to run active and unified civil movements calling for political re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