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거 중심(Evidence-Based) 의료정책의 전달경로 분석: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An Evidence-Based Study on the Delivery of Health Policy: Impact on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Ages 45+)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2.03
32P 미리보기
근거 중심(Evidence-Based) 의료정책의 전달경로 분석: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2권 / 1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강소랑, 문상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자 계층의 삶의 질 보전에 관한 근거 중심(evidence-based) 정책효과분석의 필요성을 인지함으로써 출발하였다.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필수 조건인 건강・의료분야 체계 구축을 위해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제 정책 영역간 인과 경로를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제2차(2008) 고령화연구패널(KLoSA)자료에 수록된 중・고령자 8,68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효과 분석 결과, ‘개인적 속성’, ‘건강행태’, ‘의료접근성’, ‘건강상태’, ‘의료이용’ 순으로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외생잠재변수인 ‘개인적 속성’, ‘건강행태’, ‘의료접근성’은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대해 ‘건강상태’를 매개로 한 유의한 간접효과는 나타나지만, ‘의료이용’을 통한 유의한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의료접근성’은 ‘건강상태’를 매개로 하여 ‘의료이용’에 간접효과는 나타났지만 유의한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의료이용은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지만, 건강상태는 직접・간접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정(+)의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증험적 정책효과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고령자보건의료 정책 목표인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속성을 통제했을 때 가장 높은 총효과를 보여준 정책영역인 건강관리정책(보건교육 및 건강증진)이 우선순위로 자리매김 되어야 하고, 이들 정책영역과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건강・의료보험정책(건강・의료보험 접근성)과 함께 고령자 의료공급확대를 위한 건강지원정책(의료시설・기관 접근성)이 뒷받침 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needs for understanding effects of health-related policy on mid- and elderly persons' quality-of-life. We attempted to figure out causal pathways that might be established among a variety of policy tools and quality-of-life, particularly focusing on latent variables over pre-specified domain of health-related policy fields associated with service delivery system. We selected a random sample of 8,688 elderly individuals from the second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ndividual Attributes', 'Health Behaviors', 'Accessibility to Medical Care', 'Health Condition', and 'Availability of Medical Care' significantly affected elderly persons' quality of life with descending order of magnitude. 'Individual Attributes', 'Health Behaviors', and 'Accessibility to Medical Care' of extraneous latent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quality-of-life particularly through a latent variable of 'Health Condition.' The evidence-based research results also suggest that more policy concerns need to be placed on the fields of health-related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The total effects of variables representing those two policy areas on elderly quality-of-life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other effects, with controls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we found that a health-related assistant program that might support elderly patients with medical equipments, health insurance, and increasing institutional accessibility would be of great help to the existing delivery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