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강남 고소득층 중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in life of 1st Grade Students at Middle School in Gangna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10
32P 미리보기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강남 고소득층 중학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6권 / 5호 / 783 ~ 814페이지
    · 저자명 : 임종헌

    초록

    이 연구는 강남의 고소득층 밀집 지역에서 성장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삶을 분석하여, 고소득층 중학교1학년 학생의 삶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강남 소재 A중학교의 학생 13명과 그 학생들의 어머니 13명, 그리고 학생의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로 심층면담 방법을 활용하였고, 학생 대상으로활동지 작성을 추가로 실시하여 학생을 이해하기 위한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생의 삶의 특징을 가정 생활, 학교 생활, 학원 생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 생활에서는 ‘나의 장래 희망은 나의 부모직업’, ‘교육에 대한 투자, 기대, 그리고 부담’, ‘내 생활의 중심은 엄마’, ‘엄마는 학습코치’, ‘내 편에서 싸워주는 엄마’, ‘부모에게 반항하는 작은 일탈 시작’의 특징이 나타났다. 학교 생활 측면에서는 ‘미리 가보는 고등학교: 고등학교6학년 과정에 돌입’, ‘학교 선생님께 나는 많은 학생 중에 한 명일 뿐’, ‘주먹다짐 없지만, 일상적으로 욕 쓰기’, ‘짧고잦아진 이성교제’, ‘관계의 중심은 페이스북, 카톡보다도 페이스북 메신저’, ‘예체능은 줄이고 국영수사과 공부에집중’, ‘자유학기에도 일제식 지필고사 경험’의 특징이 부각되었다. 학원 생활 영역에서는 ‘학원 쇼핑하기’, ‘과외보다학원’, ‘고등학교 및 대학교까지를 겨냥한 선행학습 시작’, ‘공부 장소는 프리미엄 독서실’, ‘방학에는 매일 학원으로등교’, ‘학교 숙제는 없고, 학원 숙제에 묻힌 방학’, ‘학원 선생님은 지식을 가르쳐주는 사람’, ‘학원 선생님과 나는주고받는 거래관계’, ‘학원선생님과 개인적 관계 맺기’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논의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가정은 ‘나를 위한 곳’으로 의미화 되었으며, 가정은 주로 학교와 학원 공부를 위해 휴식하고 숙제하는장소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에게 학교는 ‘고등학교를 준비하는 곳’이었다. 셋째, 학원은 ‘또 하나의 학교’였다.
    학교 못지않게 시간을 보내고, 학교보다 숙제를 더 많이 내주는 곳이며, 학원 선생님과의 관계 역시 밀접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ves of middle school first-year students growing in the concentrated areas of high-income middle schools in Gangnam-gu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ive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13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Gangnam-gu, 13 mothers of those students, and teachers at the same school. Interviews were mainly used, and students were also required to fill in black spaces on worksheets, to take academic strategy, and to search for career tests in order to use them as supporting materials of understanding the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ife were divided into the areas of home life, school life, and Hakw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home life, the characteristics of ‘my future career equals to my parents’ job’, ‘investment in education, expectation and burden’, ‘my mother is the center of my life’, ‘my mother is the coach of learning’, ‘my mother is fighting on my side’, and ‘the start of a small deviation from my parents.’were found. In terms of school life, the characteristics ‘going high school in advance: entering the 6th grade of high school’, ‘me as just one of many students to my teacher’, ‘no fistfight, but routinely swearing’, ‘short and frequent dating’, ‘Facebook being the center of the relationship, Facebook Messenger more than Kakao Talk’, ‘less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more Korean, English, Math, Science, and Social Studies’, ‘paper-and-pencil examinations even in the free semester’were magnified. In Hakwon life, ‘shopping for Hakwon’, ‘Hakwon rather than private lesson’, ‘being a preceding study aimed at high school and college’, ‘high-end reading room for studying place’, ‘going to Hakwon everyday during break’, ‘No school homework, but buried in Hakwon homework’, ‘Hakwon teachers as a person who teaches knowledge’, ‘the trade relationship of me and Hakwon teahers’, ‘building personal relationship with Hakwon teachers’ were fou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were discussed: First, the home became ‘a place for me’ to the students, and the home was mainly a place to relax and do homework for school and Hakwon. Secondly, school was ‘place for assessment’ to the students. Because customized knowledge-learning, including preceding learning, was done in Hakwon, schools were viewed as a place to be assessed rather than to be taught.
    Third, Hakwon was ‘another school.’ It was a place where the students spent as much time as their schools, gives more homework than school, and their relationship with Hakwon teachers were intim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