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성 교사의 은퇴 후 삶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After the Retirement of a Male Teacher a Phenomenological Study of Life Experiences: Around secondary school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5.04
19P 미리보기
남성 교사의 은퇴  후  삶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 / 12권 / 2호 / 121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향란, 김희수

    초록

    본 연구는 남성 교사의 은퇴 후 삶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 은 남성 교사가 은퇴 후 경험하게 되는 삶의 내용과 의미구조를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찾아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은퇴한 중등학교 63∼67세의 남성 7명으로, 개별 심층 면 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의 결과는 4개의 범주(교직을 떠나니 내가 없어져 버린 혼란과 상실감, 사회에 잘 섞이지 못하며 표류함, 여전히 고군분투함, 새로운 삶의 방식을 수용함)와 9개의 하위 구성요소(시간에 떠밀려 은퇴를 마주함, 교직을 떠난 뒷방 늙은이 같은 상실감, 조급함으로 세상이 두려움, 교직 사회와 일반사회의 큰 갭, 구직활동과 책임 감으로 분주함, 여전히 가장 역할의 버거움, 새로운 직업 탐색의 진입, 정서적으로 친밀한 관계 형성에 주력함, 새로운 활동들에 익숙해져감)로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남성 교사의 은퇴 후 삶의 경험과 그 의미구조를 통해 은퇴 경험에 내재한 심리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절한 상담 개입 및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s the lived experiences of male secondary school teachers after retirement.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meanings embedded in their post-retirement liv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retired male teachers aged 63 to 67.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findings revealed four overarching themes: (a) confusion and loss of identity after leaving the teaching profession, (b) a sense of social disconnection and drifting, (c) continued psychological struggles, and (d) acceptance of a new lifestyle. These themes were further divided into nine subthemes, including being involuntarily retired, experiencing a loss of status, fear of a rapidly changing world, gaps between educational and general social systems, burden of job seeking and responsibility, pressure to maintain the role of family provider, exploration of new careers, efforts to build emotionally close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new activities. These findings reveal psycholog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male teachers’ retirement experiences and suggest the need for targeted counseling support and informed policy interven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심리교육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