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 비문해 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구성하는 생애과정과 공간 경로 탐구 (A Study on the Meaningful Life-spaces in the Life-courses of Adult Illiterate Learner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7.11
38P 미리보기
성인 비문해 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구성하는 생애과정과 공간 경로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20권 / 4호 / 27 ~ 64페이지
    · 저자명 : 양은아

    초록

    본 연구는 생애과정이라는 시간성의 종적구조와 다양한 사회적 영역이라는 공간성의 횡적구조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성인 비문해 학습자의 삶과 경험에 대한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과 함께 공간적 타자화와 탈타자화가 전개되는 복합적 맥락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지역 한 문해교육 거점기관에 등록한 학습자 18명을 대상으로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간범주는 집, 결혼, 사회, 문해교육 공간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집’ 공간은 이들에게 생애 전체를 가로지르는 장벽, 즉 교육의 첫 기회가 박탈되고 평생 비문해자라는 굴레가 덧씌워지는 연쇄적 고리가 꿰어지는 출발지점이며, ‘여자’라는 왜곡된 편견과 중첩된 억압을 경험하며 타자화되는 공간이었다. 둘째, 결혼을 통한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은 유청소년기 공간으로부터의 탈주의 계기로 삼지만, 결과적으로 이전 ‘집’ 공간의 문제와 패턴이 그대로 연장되고 반복되는 공간으로 상징화되었다. 셋째, 공적공간으로 편입해 들어가는 사회공간은 전면적으로 비문해자로서의 한계를 직면하는 공간이다. 비문해자에 대한 억압과 차별이 내리누르는 공간, 자신의 비문해자 정체성을 숨기고 위장해야 하는 공간으로서 타인과 집단이 요구하는 시선과 규범을 체현하는 장소인 동시에 전형적인 규범과 ‘정상’이라고 인지되는 범주 안에 자신을 구성해가는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문해교육 공간은 타자적 시선에서 벗어나 탈타자화를 전유해가는 학습공간이며, 새로운 공간생산의 주체로 성장하는 곳이다. 그 점에서 문해교육을 통해 문해자로서 거듭나는 것은 또 다른 ‘사회적 탄생’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meaning of adult illiterate learners’ life and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over of multi-steps of temporal life-course and various spatial moments in social areas. The author focuses on the nature of segmentation in time and spaces that are intertwined in adult illiterates lives. The life-course is not a homogeneous linear and seamless continuity, but rather the sum of segmented momentums exposed in heterogeneously located spatial social realities. In this research, the author reveals how the segments of life-pieces are colliding to shape dialogical interactions in one’s own personal learning history of literacy journey. This research used oral life history that included 18 learners who enrolled in a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City of Ulsan. This paper found out four meaningful categories or segments of life-space with the following different four themes: (1) home, (2) marriage, (3) community, and (4) adult literacy education space. First, home as a living space was a barren land that took the chance of learning away from them. It was the place where their learning deprivation has begun, and thus the fate of being illiterate has been assigned during their entire lives, as victims of prejudices as being women as well as being illiterate. Second, marriage looks to provide new space for escaping from the given ‘first family space’. It, however, consequentially ends up with a space where the problems and patterns of the previous home circumstances are continuously repeating. Third, local communities or social citizenship areas are the space where the learners completely face the limit as illiterate persons. As the modern social spaces are constructed with elaborated symbols and abstracts, the space applies endless repression and discrimination to illiterate persons and make them conceal and disguise their identities in return. it is the place where the learners embodied the demands of others and being “otherness.” They are constantly judged as abnormal by the groups they belong. Finally, the adult literacy education is the space of liberation. It is the learning space where the learners could feel free from the prejudices of ‘otherness’. It provides shelter to relocate themselves from ‘being-others’, and transform to the new identity who are able to construct new space of living, as another social bi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