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인 아리오스토의 시각으로 바라본 궁정인의 삶:「풍자시 I」 연구를 중심으로 (A Courtier’s Life as Seen by Ariosto: A Study on the Satira 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11
32P 미리보기
자연인 아리오스토의 시각으로 바라본 궁정인의 삶:「풍자시 I」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80호 / 93 ~ 124페이지
    · 저자명 : 박진경

    초록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시작된 아리오스토의 궁정인으로서의 삶은 1517년 그의 후원자인 이폴리토 추기경이 헝가리로 교구를 옮기게 되면서 일단락된다. 추기경은 아리오스토에게 헝가리로 함께 갈 것을 제안했지만 시인은 건강상의 문제를 핑계로 거절한다. 그렇게 15년 만에 자연인의 삶으로 되돌아오게 된 아리오스토는 첫 번째 풍자시 「풍자시 I」를 집필한다. 「풍자시 I」는 이폴리토 추기경의 제안을 거절한 이유에 대한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들로 시작된다. 건강상의 문제를 비롯하여 노모의 부양 문제 등을 거론하지만, 사실 그보다 더 결정적인 이유는 이폴리토 추기경의 부당한 처우에 관한 문제와 궁정인의 삶에 대한 작가의 회의적인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아리오스토가 「풍자시 I」에서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는 이폴리토 추기경은 권위적이고 세속적으로 변한 당대의 예술 후원 문화의 폐단을 단적으로 드러내 주는 대표성을 띤 인물로 이해할 수 있다. 예술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조예가 바탕이 되어 엘리트 예술가들에게 자유로운 창작의 장을 열어주고자 했던 궁정의 전통적인 예술 후원 문화는 어느 순간부터 예술가들의 재능을 실무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세속적인 목적으로 변질되어 갔고, 후원금의 진정한 의미 또한 점차 퇴색되면서 예술가는 후원자의 경제적인 속박 속에 자유로운 예술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었다. 이처럼 아리오스토가 경험한 당대의 궁정 문화에는 더 이상 진정한 의미의 패트런도, 진정한 의미의 예술가도 존재하지 않았다. 속박된 궁정인의 삶에 마침표를 찍고 마침내 자유를 되찾은 아리오스토는 그동안 묵인할 수밖에 없었던 궁정인의 삶과 궁정 문화에 대한 내면의 소리를 서간문 형태의 풍자시 속에 재치 있게, 때로는 신랄하게 담아냈다. 다분히 자전적인 이야기로 운을 뗀 아리오스토의 첫 번째 풍자시는 결국 16세기 궁정의 예술 후원 문화의 실태를 고발하기에 이른다.

    영어초록

    In the first Satire, Ariosto narrates his contrasts with the Cardinal, who had asked to be escorted to Hungary. The writer refused to follow his patron although he is well aware of the risks that every courtier runs when he opposes the demands of his master. Ariosto explains the reasons why he decided not to leave. Ariosto’s Satire thus starts with an autobiographical note and then extends to a socio-cultural reflection on the reality of sixteenth-century courts. The quarrel with Cardinal Ippolito d’Este offers the author an opportunity to compose the first of his seven Satires, which make use of personal biographical cues to reflect on issues concerning the society of his time and human relations in general. In this case, the topics are court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ful and the subdued, as well as between power and literature. The theme that Ariosto wanted to expose is, in short, the absence of a true patron in hi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