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 — 관계지향적 개인화를 중심으로 (Life on the Margin for a New Gener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in China: Relationship-Oriented Individualizatio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09
44P 미리보기
중국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 — 관계지향적 개인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35호 / 221 ~ 264페이지
    · 저자명 : 허설화

    초록

    이 연구는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제도나 구조적 상황의 부산물로 바라보는 기존의 연구시각에서 벗어나, 신세대 농민공의 ‘개인’으로서의 삶을 규명할 수 있는 미시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중국사회의 ‘관계지향적 개인화’와 맞물려 낳은 결과로 바라본다. 중국 농민공의 개인화 실천은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탈전통화 시기’와 2000년대 초·중반부터 현재까지의 ‘도시민화 시기’의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950-70년대의 농민공은 집단경제조직과 가족공동체에 의해 ‘개인’으로서의 주체성이 결여되었다. 그러다 1980년대~90년대 개혁개방 정책의 실시와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의 도입을 계기로 농민공은 탈집단화하여 삶의 형태의 ‘개인화’에 이르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시기 농민공은 비록 ‘개인’ 형태로 도시에 진출했지만 관계적 네트워크 차원에서는 여전히 전통 농촌공동체와 긴밀한 상호의존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적 네트워크는 2000년대 초·중반 ‘도시민화 시기’에 진입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도시에서 농민공의 신분 지위와 취업 여건이 호전됨에 따라, 농민공은 전통 가치와 관계적 네트워크에서 점차 분리되어 나와 ‘개인’으로서의 주체성을 발현하여 ‘자신의 삶(a life of one’s own)’을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한편으로, ‘도시민화 시기’ 농민공은 짧은 기간 내에 압축적인 방식으로 도시의 근대화를 체감하고 제도적, 사회적 안전장치가 미비한 상태에서 다양한 생애위험에 노출되기도 하여 위험인식이 높다. 따라서 이 시기 농민공은 주체성 인식이 강화됨과 동시에 불안감도 증폭되고 개인은 유기적 연대의 (재)구축을 통해 안정감을 확보하려는 공동체 지향성을 발현한다. 신세대 농민공들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주체성과 공동체성 사이에는 필수적인 긴장이 항상 유지되고, 양자의 상호작용은 신세대 농민공의 삶 전반을 관통한다. 즉,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의 삶은 일견 비자발적, 비합리적인 무질서한 움직임으로 보이지만 이들 행위 배후에는 개인으로서의 주체성과 집단으로서의 공동체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고자 하는 현실적인 삶의 가치관이 내포되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offer an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lives of Chinese migrant workers. It deviates from existing research by employing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treating the new-generation migrant workers as individuals rather than as the by-product of institutional or structural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marginal lives of the new gener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are approached as a result of interlocking with the ‘relationship-oriented individualization’ of Chinese society. The individualiz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detraditionalization period’ from the 1950s to the early 2000s and the ‘urbanization period’ from the early and mid-2000s to the present. Specifically, rural migrant workers from the 1950s to the 1970s initially lacked ‘individual’ subjectivity due to collective economic organization and family community. However, from the 1980s to the 1990s, rural migrant workers separated from collectivization and reached the ‘individualization’ of their life forms.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rural migrant workers entered the city as ‘individuals’, they were still closely connected with the traditional community network. This relationship network began to weaken as rural migrant workers entered the ‘urbanization period’ in the early and mid-2000s. During this time, rural migrant workers have been able to show their subjectivity as ‘individuals’ and pursue their own lives. On the other hand, under an imperfect system and social stability mechanism, they have also been exposed to various risks. In other words, the rural migrant workers’ awareness of subjectivity has strengthened, while their anxiety has risen. Therefore, individuals adopt the community orientation to secure stability through (re)construction of organic solidarity. There is always an essential tension between subjectivity and community-nes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new gener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and interaction with each other runs throughout their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