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무적 삶으로서의 군대와 탈영에 대한 소고 -드라마 <D.P.>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litary as an Obligatory Life and Desertion -With a focus on the drama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의무적 삶으로서의 군대와 탈영에 대한 소고 -드라마 &lt;D.P.&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70호 / 71 ~ 106페이지
    · 저자명 : 박상완

    초록

    드라마 <D.P.>는 한국 드라마에서 금기시되었던 소재인 군대의 실상을 ‘탈영’ 이라는 측면에서 그린 작품이다. 이 글은 <D.P.>가 군대를 의무적인 삶의 측면 에서 재현한다는 점에 착안, 작품의 핵심 키워드인 탈영의 의미를 분석한 논문 이다.
    2장에서는 탈영병들의 탈영 이유를 군대 문화와 관련해 살펴보고, 이들을 체 포하는 군탈체포조의 의미에 대해 논구하였다. 군대에서의 폭력적/통제적인 삶 으로부터 실존적 위기의식을 느낀 군인들은 탈영이라는 선택을 한다. 그런 점에 서 <D.P.>에서의 탈영은 주체를 억압하고 파괴하는 삶으로부터의 탈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군탈체포조는 탈영병들과 마찬가지로 군대에서의 의무적인 삶에 종속되어있기 때문에 그들을 그들이 벗어났던 세계로 되돌려놓는 역할을수행하게 된다. 군대는 탈영과 체포가 끝나지 않고 반복되는 이러한 악순환을 통 해 존속하게 된다.
    3장에서는 탈영의 의미를 사회적 측면에서 재론하고 그 한계와 전망에 대해 짚어보았다. 탈영병들은 폭력적/통제적인 군대로부터 벗어나지만 군대와 다를 바 없는 군사화된 사회와 마주하게 된다. 이는 탈영병뿐만 아니 다른 인물들, 상 황들을 통해서도 드러나며, 심지어 사회구성원들에게서는 군사주의 질서를 수 용하고 따르는 양상까지 엿보인다. 이를 통해 <D.P.>는 탈출구 없는 파국적 현 실을 폭로하고, 탈출도, 복수도 대안이 될 수 없음을 암시한다. 이는 OTT 드라마 의 속성을 활용한 단계적인 과정을 통해 전략적으로 형상화되는 바, 오래 전부터 배태된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는 매우 비관적인 전망으로 이어진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남는 문제는 군대의 의무화라는 원론적인 질문이다. 향후 공개 예정인 시즌 2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이 어떻게 형상화될지 귀추가 주목되 고, 군대의 실상을 재현하는 시도가 더 많이 이루어져 한국사회와 군대에 대한 성찰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drama <D.P.> depicts the reality of the military, which has been tabooed in the drama scene of South Korea, in the viewpoint of "desertion." This paper analyzed the meanings of desertion, which is a keyword of the drama, based on its reproduction of the military in the viewpoint of an obligatory life.
    Chapter 2 looked into the reasons of deserters for their desertion in relation to the military culture and discussed exhaustively the meanings of teams to arrest them. Soldiers decide to desert when they feel an existential crisis due to the violent/control life of the military. In this sense, <D.P.> presents desertion as an escape from a life to suppress and destroy the subject. Being subordinate to the obligatory life of the military just like deserters, the teams to arrest them are forced to play the role of returning them back to their old world that they escape from. This shows that the military continues to exist through the vicious cycle of repeated desertions and arrests.
    Chapter 3 reviewed the meanings of desertion in a social aspect and examined its limitations and prospects. Deserters have an encounter with a militarized society that is just like the military even after they escape from the violent/control military, which is revealed in other characters and situations as well as deserters. Even common members of society exhibit a pattern of accepting and following a militarist order. <D.P.> discloses a catastrophic reality with no exits and implies that neither escape nor revenge can be an alternative. It is embodied strategically in a stepwise process based on the attributes of OTT drama, and not only are problems that have been born for a long time still unresolved, but they lead to a very pessimistic outlook that they will remain so in the future.
    These discussions leave a theoretical question about making the military an obligation. Season 2 of <D.P.>, which is to be announced later, is garnering attention for its ways of embodying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re will be hopefully more attempts to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military so that there will be ongoing reflections on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milit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