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명가 기증유물로 본 조선 사대부의 삶- 관직 생활을 중심으로 - (Life of Yangban in Joseon Dynasty seen through Donated Collections from Eminent Families in Kore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02
44P 미리보기
경기명가 기증유물로 본 조선 사대부의 삶- 관직 생활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17호 / 81 ~ 124페이지
    · 저자명 : 심영신

    초록

    이글은 2010년 경기도박물관에서 개최한 <경기명가 기증유물 특별전-조선시대 사대부>에 기초하여 조선시대 사대부의 삶 가운데 관직 생활을 위주로 한 공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다. 가정, 경제, 교유 등의 사적인 부분보다 과거시험과 관직생활에 중점을 두고 그들의 삶을 다룬 이유는 과거급제와 관직이 그들의 삶의질을 가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위 특별전의 기획 의도는 현대 한국인들이 지향하는 가치의 연원이 조선시대사람들의 ‘양반 지향’에 있다고 보고 과연 조선시대 양반들의 삶의 목표는 무엇이며 그러한 가치의 실현을 위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1986년부터 2010년까지 30여개 명가에서 경기도박물관에 기증한 가장 가운데 이를 잘 보여주는 초상화와 고문서, 전적 등 200여 점의 유물을 선택하였다. 초상화, 고문서(백패 혹은 홍패 교지, 관직 임명서, 공신 교서, 상속문서,호적 등), 전적(문집, 편지글 등) 등의 유물은 조선시대 양반 개인의 삶의 기록이지만 동시에 그가 속한 가문이 지향하는 가치 즉 조선 양반이 지향하는 가치가무엇이었는지 웅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 양반은 법적인 개념이 아니라 관례상의 개념이었으나 특권을 부여받으면서 신분으로 자리잡아 갔다. 그들에게 주어지는 면역 등의 ‘특권’에 의해 조선시대 사람들은 양반이 되기를 지향하게 되었다. 양반이 되고 그 신분을 유지하기위해서 그들은 과거시험을 거쳐 관직에 나아가야 했다. 과거시험의 응시자격은제한 자격만 있었으나 몇 십 년의 준비 기간을 요하는 과거시험에 누구나 뛰어들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므로 결국 이를 감당해낼 수 있는 일부 계급에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조선시대 사대부는 내적으로 자기를 수양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 통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신념을 가진 지성인들이었습니다. 그들 삶의 목표이자 사회의 이상은 주자학적 가치, 즉 위로는 임금을 섬기고아래로는 백성을 편안히 하는 도학 정치를 실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들의 책무는 벼슬을 통해 세상을 경영함으로써 도가 실현되는 사회를 구현하는 것이었기때문에 공부의 중요한 목표는 바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가는 것이었습니다. 과거 급제는 자기의 신념을 실현해가는 첫걸음이었으며 가문에는 영광을가져다주는 일이기도 했습니다.
    성리학적 지배이념이 고착된 조선시대 후기는 같은 왕조하의 조선 전기와는사람들의 意識과 지향하는 가치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 불교에 기반한 가치가 여전히 사람들의 의식을 지배했고 상당히 개방적인 분위기였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는 조선 후기보다는 오히려 고려 후기 사람들의의식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조선시대 양반의 삶을 관직생활과 관련한 공적인 부분과 사적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조선 전후기에 특히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적인 부분의 삶이다. 성리학적 지배이념과 고려말 도입된 주자가례에 기반한 의식의 준수가 조선 전시기를 통해 제도적으로 강요되면서 조선 후기의 조선양반은 계급, 남녀의 차이, 조상, 가계 등에 대해 매우 폐쇄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조선시대 과거시험 제도는 조선시대 전시기를 통틀어 큰 변화 없이 지속되었다. 과거시험에는 이미 관직이 있는 관료들도 승진을 위해 응시하였고 이는 몇몇홍패 교지에서 잘 드러난다. 관직에 나아간 이들이 여기는 최고의 지위는 정승,사궤장, 입기사였다. 또한 나라를 위해 큰 공을 세웠을 때 공신으로 책봉되는 영광을 안게 되었는데 이때 그들의 부모와 부인도 그들과 함께 지위가 승격되었고상으로 받은 땅이나 노비 등은 세습되었다. 부모가 살아있지 않을 경우에도 부모의 지위는 추증을 통해 승격되었다. 한 개인의 삶의 영광이 가문에게 미치는 실제적인 영향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일정한 지위에 있었던 관료들은 죽을 때시호를 받는 영예를 누렸다. 조선 양반들은 죽은 뒤에도 여전히 관직에 있었다.
    봉급을 받는 실직은 아니었으나 자신의 공과가 어떻게 평가되는가에 따라 혹은자손들의 공과에 따라 여전히 관직을 삭탈당하거나 혹은 복관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는 기증 고문서, 초상화, 전적 등의 기록으로 생생하게 전달되고 있다.

    영어초록

    Life of Yangban, or Sadaebu, gentry in Joseon dynasty (1392-1910) can be dividedinto two parts of public and private. This article explores their public life focusedon civil examination procedure and life being in government posts, on which qualityof Yangban's life depended. Materials that this article based on are objects displayedin a special exhibition <Gentry of Joseon Dynasty - Special Exhibition of DonatedCollections from Eminent Families in Korea>, which was held from July 14 toSeptember 28, 2010 at Gyeonggi Provincial Museum.
    The exhibition was intended to explore what aims of the Joseon gentry in theirlife were and how they lived their lives to achieve the goal. Two hundred objectsof portraits, documents, and books selected from donated collections from eminentfamilies in Korea were produced in the Joseon period and donated to GyeonggiProvincial Museum in Youngin, Korea by thirty eminent families of Korea for last25 years. These objects with which this article discusses are as follows: <AnswerSheet of an Civil Service Exam>, <Certificate of Passing Civil Service Examination>,<Admission List of a State Examination>, <Appointment Letter>, <Official Robes>,<Royal Command Letter>, <Document of Salaries>, <Official Diaries>, <Royal Edictto Award a Posthumous Title>,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Portraitsof Royal Gifts for Achievements>, etc. Donated collections from eminent familiesof Korea are consisted primarily of these portraits and ancient documents. Becausethey are articles left by the deceased who brought honor and glory to their family,their descendants have treated and preserved these properties with devotion as they do their forefathers.
    Yangban in Joseon Dynasty literally meaning two bans refers to civil functionariesand military nobility. Initially Yangban was not a term based on law but aconventional term and gradually had been changed into a concept signifying class.
    Those who were in this class received special rights such as exemption from militaryservice. The special rights attracted people and made them have wishes to becomeYangban. In order to be Yangban and maintain its position they had to pass civilexaminations and get to government service. Everyone except the lowest class suchas servants was able to take the examinations. However, because it took a few decadesto pass them, only examinees from high class who were supported by their familywere able to prepare for the examinations.
    The law compelled people to observe Confusion ideology and Jujagarye [Zhu-xiFamily Courtesy] through the whole period of Joseon dynasty. It was through thesesystem that gender discrimination and class distinctions finally became set in finallyin the late Joseon. Therefore the late Joseon was very different society from thatof the early Joseon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In this point the earlyJoseon society was more similar to the late Goryeo dynasty (918-1392), which wasBuddhist society than to the late Joseon dynasty.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continued through the wholehistory of the dynasty without big changes. Those in positions also were able totake the examinations to promote their positions. It was regarded as top honor torise to the rank of one of three prime misters called jeonseung. It was also veryhonorary to receive honorary chair and staffs of royal gift and to enter elderlyscholor-officials’ club. When officials in high position were not able to retire becauseof pending issues even though they were over 70 years old, the king presented thema chair and staffs, which were very rare. When high position officials turned 70s,they entered the elderly scholor-officials club, which kings in 70s entered as well.
    When official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ir country, they wereproclaimed as a meritorious subject. The installation of it also assured their parentsand wife in the same level of honorary position as they achieved. Lands and servantswere conferred as merit awards for achievements and were hereditary. In this way the personal honor was also an honor for their family. When officials in the highposition died, they received posthumous title from government through royal edicts.
    There happened sometimes to remove the deceased from office or to reinstate intheir position even. In this sense Joseon gentries virtually were able to retire fromoffic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