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다라 경험을 통한 치매를 겪는 어머니의 삶에 관한 탐구 (An Inquiry on the Life of a Mother Suffering Dementia, via Mandala Experienc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7.10
23P 미리보기
만다라 경험을 통한 치매를 겪는 어머니의 삶에 관한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24권 / 5호 / 1211 ~ 1233페이지
    · 저자명 : 김양숙, 최외선

    초록

    본 탐구는 만다라를 통한 어머니의 삶과 어머니와 함께 한 나의 삶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나는 어머니로부터 건강한 분리가 이루어졌는가라는 존재적 물음에 답을 찾고자 시작하였다. 치매로 자신의 존재가 의미로 드러나지 못한 채 사라지는 어머니의 무력한 현실과 나의 삶의 문제들을 실존을 통해 되묻고 자각하는 가운데삶의 의미, 가치를 찾아 재구성하고 실현하고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탐구는 치매 전과 후의 어머니 만다라, 일상이 담긴 나의 일기와 작품을 인공물로 사용하였다. 탐구에서 발견한 것은 최선을 다해 살아내신 어머니에게 체화된 삶의 반영이었다. 어머니는 만다라 작업 과정 내내 성실한 태도로 몰입의 즐거움을 누리시며 매순간 ’삶을 진정성 있게 마주할 때 온전히 자유롭고 행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셨다. 이 과정에서 젊고건강하셨던 어머니가 우리들이 자랄 때 말씀하셨던 '행복은 마음 가운데 있다’는 가르침이 여전히 유효함’을 확인하였고 삶의 ‘유한함’ 속에서 ‘무한함’을 배우는 지혜를 깨닫게 되었다. 이 과정은 내 삶의 소중한 가치를 통찰하게 해주었고, 그림은 어머니 삶을 온전히 되새김질하는 과정이었으며, 어머니 탐구는 나 스스로 건강한 분리로 향하는 홀로서기의 시작이 되어 또 다른 삶의 의미와 소통으로 이어졌다.

    영어초록

    This inquiry began with an effort to find answers about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my mother’s lifeand with my life, while I was confronted with an ontological question about whether my separation fromher was healthy. This inquiry focused on ontological questioning and required awareness concerning bothmy mother under suffering from dementia and losing her fullness of existence, and my life issues in termsof existence.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to reconstruct and actualize the significance, value, andpurpose of living. I analyzed collected artifacts, including my mother’s mandalas before and duringdementia, and my daily journals and artworks. The inquiry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inquiry was thevisualized representation of my mother doing her best in life. Meanwhile, my mother enjoyed the joy ofconcentration with a sincere attitude while creating mandalas and revealed that she felt “freedom andhappiness while confronting her life truthfully.” The words, “happiness is from the center of mind”, spokento me when my mother was young and healthy, confirmed that her teaching was still valid for my life andled me to learn the wisdom of “infinity” in “finiteness” of life. This process helped me realize the value ofliving and drawing as the process of ruminating the mother’s life, and inquiring about her life led me toaccept a healthy separation and to communicate with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