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랫폼 생산자와 일상성: 일상 브이로거의 삶과 노동 (Platform Producers and Everydayness: Daily Vloggers’ Life and Work)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06
47P 미리보기
플랫폼 생산자와 일상성: 일상 브이로거의 삶과 노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101호 / 153 ~ 199페이지
    · 저자명 : 김예란

    초록

    이 연구는 일상 브이로거 현상에서 포착된 새로운 미디어 생산자를 ‘플랫폼 생산자’로 개념화하면서, 그 시작과 성장, 노동 과정, 작품의 미학적 특성, 사회적 관계와 함의, 경제적 조건과 대응 전략, 직업적 정 체성을 탐색한다. 문화가 보통의 것이라면, 보통이 생성되고 실행되는 시공간적 과정으로서 일상은 동 시대의 문화 형성에 근본적인 토양이 된다. 나아가 일상에는 주체의 고유한 감각과 감수성, 관계를 맺기 나 관계를 바꾸기, 낯익게 하기의 친밀성만큼이나 낯설게 하기의 도전성이 내재한다. 일상 브이로거들 이 참여한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여 도출된 플랫폼 생산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아 주관적인 가치와 개인 적인 노동 방식이 두드러진다. 또한 기존의 상업적 미디어 생산자와는 달리 그러한 질서를 거부하거나 적정한 수준과 성격의 광고 범위로 교섭하는 등의 선택성과 자율성이 두드러졌다. 또한 플랫폼 생산자 는 브이로그의 경계를 넘어서 다양한 문화산업 영역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이면서 각개의 상이 한 문화산업 영역을 연결하는 매개자로서 인지되고 있다. 이처럼 일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표현하는지 는 새로운 탈정체화가 진행되고 대안적인 정치적 주체화가 추진될 수 있는 정치ᐨ미학적인 가능성을 지 닌다. 더욱이 신자유주의적 문화 체제에서 위기에 빠진 일상에 대한 체감된 인식은, 젊은 세대들로 하여 금 ‘보통’을 회복하려는 ‘특별’한 실험을 일상에 대해 시도하도록 이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concept of platform producer and analyses its development, working process, aesthetics, social relations and functions, economic condition and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fication. If culture is ordinary, everyday life as a temporal and spacial process in which the ordinary is practiced is constitutive of fundamental soil for the contemporary cultural formation. Everdayness implies the subject’s unique senses and sensibilities, actions of making and changing relations, and familiarising and defamiliarisi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14 daily vloggers’ depth interviews,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producers are as follows: The subjective values and working style, rejection or moderate selection of advertisements, and mediated function towards other cultural labours in the future. How to experience and express everyday life is a critical moment of de-identification and political subjectification. Further, the critical approach to everyday life which is in crisis in the neoliberal era signifies the young people’s aspiratory attempt to make the ordinary the experimental extraordin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정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