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척수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Life Experiences of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6.03
27P 미리보기
척수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31호 / 111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광원, 부성은, 김영채

    초록

    본 연구는 척수장애인이 척수손상을 입게 된 후부터 재활과정을 거쳐 사회에 복귀하기까지의 경험을 근거이론 방법을 통하여 분석해보고자, 다양한 경험을 소유한 8명의 척수장애인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모두 91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43개의 하위범주와 17개의 범주로 유목화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보통사람에서 환자로」, 「되지도 않을 완쾌를 기대함」, 「고통의 구렁텅이」로, 맥락적 조건은 「변화의 물결이 밀려옴」, 「나를 벼랑 끝으로 떠미는 요인들」로, 중심현상은 「참기 힘든 충격들」, 「무너져 내리는 내 인생」, 「다른 세상의 사람이 됨」, 「고통스러운 가족들」, 「심신이 모두 다 시달림」으로, 중재적 조건은 「다른 장애인들로부터 받은 영향」, 「사회 속으로 끌려들기 시작함」, 「사회복귀에 도움을 준 외부 요인들」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제2의 인생을 향한 걸음마」, 「희비가 엇갈리는 사회 초년생 생활」로, 결과는 「돈 쓰는 존재에서 돈 버는 존재로」, 「이젠 나도 어엿한 사회인」으로 각각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벼랑 끝으로 내몰렸던 삶의 역경을 딛고, 개척자로 거듭나기」였고, 유형은 「변화순응형」, 「중도개척형」, 「인생반전형」으로 분류됐다.
    불필요한 입원기간을 줄이기 위한 대책, 척수장애인 가족의 간병 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 사회복귀 관련 정보제공의 확대, 동료접근 방식의 활용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8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in depth who have diverse experiences to analyse their change processes from the moment they got injured till they returned to their society by rehabilitation process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As results, this study reasoned out all 91 concepts, they were also classified 43 sub-categories and 17 primary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as ‘overcoming the adversity of life, then becoming a new person as a pioneer’, also the types were classed as ‘compliant with changes type’, ‘medium degree pioneer type’ and ‘a type of turning one’s life around’.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reduce hospitalization period, support for families of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to lighten their burden of nursing, enlarging provision of information in relation to returning to normal social life, and the need for use of peer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