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 (Lee Deok-hyeong(李德馨) and Yan Yuan(顔元)’ Practical Action and Educational Mean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6.11
22P 미리보기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제연구 / 29권 / 4호 / 23 ~ 44페이지
    · 저자명 : 김덕삼, 조득창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들의 시대상황, 생활, 교육의 측면에서 실천적 삶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정명(正名)을 기초로 한 실천적 삶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이덕형과 안원에 대한 연구의 확산, 둘째, 실천의 교육적 가치 강조, 셋째, 정명론의 교육적 활용에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이덕형은 행정가로서 자신이 배운 것을 근거로 실천하여 한반도에서 일본의 침략을 물리치고 조선의 평화를 찾는데 기여하였다. 안원은 교육과 실천적 행위를 통하여, 실천을 강조하면서 당시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개혁과 변화의 불씨를 후대에 남겼다. 이덕형과 안원의 삶은 실천의 드러남에서 다를 수밖에 없지만, 이들은 자신의 처지와 상황에서 실천적 사상으로 임하였다. 특히 이덕형과 안원의 사상은 공자의 가르침에 토대를 두고 있기에 각자의 위치에서 이름값을 하라는 정명론은 이들의 실천적 삶에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덕형은 난세에 행정가의 위치에서 실천적 삶에 충실하였고, 안원은 교육가의 위치에서 실천적 삶을 중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들의 실천의 삶은 한국과 중국에서 교육적으로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정명과 실천의 가치를 온고지신하고자 하였다. 시대와 상황과 지역이 다른 곳의 인물이지만, 각자의 위치에서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해내는 것, 그리고 이러한 행동의 토대로서 정명론은 바로 여기 오늘을 살고 있는 많은 지도층과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Lee Deok-hyeong(李德馨, 1561-1613) and Yan Yuan(顔元, 1635-1704)who lived in the different regions, age and the way of life. The main reason to compare the two figures in this article are to remind the meanings of Zheng Ming(Rectification of Names, 正名) and practice today through comparing the two persons who have many points of the commons though apparently different. In this article, their thoughts are attempted to compare in three aspects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ideas. In other words, histor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ction, a review of the educational aspects. Based on this, Living as a Praxis based on Zheng Ming is illuminated.
    Lee Deok-hyeong based on things he learned as administrators, properly practiced the role of administrator, a political administrator, a diplomat protecting physical aggression of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ributed to finding peace in Korea. Emphasizing the practice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al actions and criticizing the social problems at that time, Yan Yuan left the embers of reform and change to future generations. The Life of Lee Deok-hyeong and Yan Yuan was different. The Life of Lee Deok-hyeong and Yan Yuan looks different in surface but common in inner area. In other words, though Lee Deok-hyeong protected National Crisis as a prime minister and Yan Yuan experienced National Crisis as a educator differently, they faced the war at practical attitudes in commons from their plight and circumstances. Especially Rectification of names by Kongzi is the basis of the commons in living as a praxis of the two forerunner. Through Rectification of names by Kongzi Lee Deok-hyeong was so faithful to the practical life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ors, and Yan Yuan could focus on the practical life at the location of the educator.
    In this paper, through this study, ultimately,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溫故知新) is pursued on the value of Zheng Ming and practice in our lives here and now. Though they lived in different places and times, they faithfully executed their duties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on the Zheng Ming ideas of Confucius as a basis for these actions, which should be considered and treasured as practice virtue to be done by the many leaders who live right here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