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합과 분리 : 경계활동으로 살펴본 일과 삶의 균형 (Integration or Segmentation? Balancing Work and Life Via Boundary Work)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06
57P 미리보기
통합과 분리 : 경계활동으로 살펴본 일과 삶의 균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사조직연구 / 20권 / 2호 / 109 ~ 165페이지
    · 저자명 : 채연주, 윤세준

    초록

    한국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화두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실제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아가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일과 삶을 조율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일과 삶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두 영역을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통합과 분리의 연속선 위를 오가면서 두영역을 조율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경계활동(boundary work)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경계활동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업무수행 시 작업시간과 공간의 활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는데, 한 보안 솔루션 업체의 컨설팅 부서에서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그 외 7개 컨설팅 회사의 컨설턴트들과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총 21명의 심층면담과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3개의 자료원천(면담, 참여관찰, 일과기록표)을 확보하였으며,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일과 삶을 통합 혹은 분리하는 양식을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것은 (1) 일과 삶, 각각의 영역 내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와 (2) 이들 두 영역을 오가는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로 나누는 것이었다. 또한 각각의 영역에서 통합 혹은 분리하는 행동은 다시 세 개의 하위차원(일하는 공간, 관계 맺기, 습관적 행동)으로, 그리고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의 행동은 두 개의 하위차원(전환을 준비하는 반복행동과 전환이 이루어지는 출․퇴근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적 틀을 활용해 도출된 자료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통합-분리의 연속선에서 분리의 방향으로 경계활동을 함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점을 확보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비록 일과 삶을 통합하는 경향을 보이더라도 삶 영역의 경계는 모호하지만 일 영역의 경계는 상대적으로 명확해 일이 삶을 잠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기제를 통해 끊임없이 삶의 영역에 침투해 들어오는 일로부터 최소한의 삶의 영역을 지키려는 일종의 자구책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즉, 일과 삶을 분리하는 경향은 인간의 내재적 경향인 아니라 삶의 영역에 지나치게 개입해 들어오는 현대사회의 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의식적 선택의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경계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과 삶의 양립문제를 경영관리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통합의 관점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Over the past decade,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balancing work and life” in Korea. However,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undamental issue of how people seek the balance in reality. This is why we have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as a tool for analysis to explore people’s subtle ways of coordinating work and lif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work and life, people integrate or segment the two domains, and this balancing ac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s referred to as “boundary work” (Nippert-Eng, 1996).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ary work, this research examines how people find their own balancing point on the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continuum.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consultants who practice relatively high autonomy within their work in terms of time and spac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n IT security solution consulting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nsultants at seven other consulting companies.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21 cases of in-depth interviews provided us with three types of data sources: in-depth interviews,participant observation, and daily schedules. The grounded theory cod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data which resulted in dividing people’s of integrating and segmenting domains methods of work and life into two dimensions: (1)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within each domain and (2)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between the two domains. Furthermore, the former dimens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dimensions:workplace, relationship, and routine behavior. The latter dimension was categorized into two sub-dimensions: habitual preparation behavior for transition between the domains and commute as a transitioning act.
    The summary of our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to achieve balance in work and life by moving toward the segmentation poin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Even those who were inclined to integrate the domains of work and life suffered from work encroaching on life as the boundary of life remained ambiguous yet the boundary of work relatively was found to be clear. The tendency to segment the two domains can be interpreted as a struggle to keep what is left of life from being swallowed by work which has continuously intruded on life through various means. That is to say, people’s inclination to segment the domains of life and work is not an innate predisposition but a result of a conscious choice which is to protect life from the overly intrusive domain of work in modern society and to recover balance in work and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 depth how people coordinate work and life in reality and our findings indicate that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treats matters of work and life as objects of management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사조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