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다·삶·무속:바다의 의례적 재현과 의미화 (Sea, Life, and Folklore:the Ritual Reproduction and Meaning of Se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3.02
37P 미리보기
바다·삶·무속:바다의 의례적 재현과 의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26호 / 189 ~ 225페이지
    · 저자명 : 이경엽

    초록

    바다와 관련된 무속의례를 주목하고 바다가 의례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 돼 있는지 살펴보았다. 바다 관련 무속의례는 그 공간적 특성에 걸맞게 수사자(水死者) 의례, 생업 의례, 공동체 의례 등으로 다양하다. ‘의례적 재현’이란 주제로 본다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바다밭 및 어로활동의 의례적 재현’은 황해도와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무속의례에서 볼 수 있다. 어부 또는 잠수들이 주관한다는 점에서 보듯이, 무속의례가 어업 형태와 대응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채취 어업과 관련된 잠수굿에서는, 용왕의 출현 과정을 연극적으로 연출하고 바다밭을 실감나게 재현한다. 어선 어업과 연관된 황해도 <뱅인영감굿>에서는 만신(무당)이 신격의 내력과 조기잡이 과정이 재현하며 <소당제석>에서는 배의 수호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나이 어린 남자 선원을 여장시킨다. <영산할머니, 할아버지>는 뱃일과 고기잡이 과정을 재현하는 굿이다. 각 장면에서 실제의 뱃노래를 부르면서 동작을 연출하는 데서 보듯이 사실적인 재현 장면이 특징적이다.
    ‘수중고혼과 제액(除厄) 관념의 의례적 재현’은 동해안 별신굿의 <거리굿>, 서해안․제주도 등지의 퇴송배 띄우기에서 볼 수 있다. 수중고혼은 흉어나 재앙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범주화 되므로 이들과의 관계 유지가 중요한 적응 기제가 된다. 그것이 극적으로 연출되는 장면이 모형배를 만들어 거기에 액운을 담아 바다 너머로 내치는 퇴송배 띄우기다. 그렇게 함으로써 풍어를 얻고 삶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한다. 바다에 불가측적인 위험이 도사라지만 그곳에 적응해야만 생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문화적 적응 기제로서 의례적 재현을 통해 자연을 문화화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바다는 어민들이 삶을 영위해가는 생명의 근원이지만 그것을 얻는 과정에서 수많은 죽음을 경험하는 곳이기도 하다. 어민들에게 바다는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일터다. 바다는 곧, 초자연적인 존재와의 원만한 관계를 통해 안정과 풍요를 확보하고자 하는 문화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배경에 의해 의례 속에서 바다가 재현되고 의미화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Focusing on the folklore rituals related to the sea, this article looked into how the sea is shaped in the rituals. Sea-related folklore rituals are various, well-matching its space characteristic:the rituals for the drowned, the rituals for occupation, and the rituals for community. In terms of ritual reappearance, it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ritual reproduction of sea field and fishery’ is found in the folklore ritual transmitted in Hwanghaedo and Jejudo. Its characteristics are that it is supervised by fishers or divers and it responds to fishery. In divers’ gut related to gathering fishery, the appearance process of the Sea God is presented in a theatrical manner and the sea field is reproduced lifelike. In Hwanghaedo <Banginyounggamgut> related to fishing boat fishery, the shaman reproduces the origin of divinity and the process of catching yellow corvina, and in <Sodangjesuk> a young male sailor is dressed in female attire in order to entertain the guardian deity of the ship. <Youngsan Grandma, Grandpa> is a gut reproducing fish-catching process and work aboard ship. In each scene, real sailor’s songs are sung with motions, reproducing a real-like scene.
    ‘The ritual reproduction of the drowned and the belief of removing evil fate’ is found in <Gurigut> of the East coast Byulsingut and sending rejection ship in the West coast and Jejudo. The drowned are categorized as the ones who bring poor catch of fish and disast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m is very important. The dramatic scene where it is staged is ‘rejecting the ship’ in which a model ship is made, calamity is placed in it and rejected beyond the sea. It is a ritual to bring good catch of fish and stable life. There are immeasurable dangers out on the sea, and one must adapt to such conditions. Therefore, such cultural devices enculturate the nature through ritual reproduction.
    The sea is the foundation of life for fishers, and it is also a place a lot of casualties are made in the process. To fishers, the sea is a work plac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The sea, therefore, is a cultural place where through a peaceful relationship with supernatural beings, man attempts to secure stability and prosperity. Against such backdrop, the sea is reproduced and given meaning in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