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정일당의 중용적 삶의 추구 (The Pursuit of Kang Jeongildang’s middle way in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11
18P 미리보기
강정일당의 중용적 삶의 추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35권 / 221 ~ 238페이지
    · 저자명 : 유육례

    초록

    이 연구의 목적는 강정일당의 중용의 미덕을 분석한다. 강정일당은 도(道)와 수신(修身)의 삶을 중용에서 찾아서 중화(中和)의 경지에 이른다. 강정일당은 자기 수양을 통해서 평생 추구한 도인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강정일당은 도(道)뿐만 아니라 성리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강정일당은 그녀의 삶에 중용의 지혜를 실천했다.
    강정일당은 『중용(中庸)』에서의 삶처럼 치우침이 없이 중도(中道)을 지키며 평생 살았다. 『중용(中庸)』에서 삼덕(三德)은 사람을 공경하는 일, 다른 사람의 처지를 이해해 주는 것, 백성을 친자식처럼 아껴주는 것이다. 강정일당은 삼덕을 삶의 좌우명으로 삼고, 그것을 올바르게 갈고 닦아서 여성이었으나 군자(君子)의 길과 중용의 지혜를 실천했다.
    강정일당은 선비와 군자의 바른 마음가짐이 무엇인지 알았으며 학문과 수기(修己)의 기본적인 요소를 중용에서 찾았다. 강정일당은 자사의 『중용(中庸)』을 읽고 삶의 지혜를 얻어서 참된 선(善)을 행한다. 그리고 강정일당은 모든 일에 치우침이 없이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적으로 완전한 여성이 되려고 노력했다. 우리는 지(知), 인(仁), 용(勇)을 갖춰야만 이러한 중용의 삶을 실천할 수 있다. 강정일당은 지(知)를 어린이와 어른이 배움을 좋아하는 것이고, 인(仁)을 배운 지식을 행하는 것이며, 용(勇)을 이 두 가지를 익히고 행하지 않은 것에서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세 가지를 알고 행하는 것이 곧 그녀의 수양(修養)이다. 강정일당은 지, 인, 용을 실천하여 중용을 지키는 삶을 추구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virtue of Kang Jeongildang’s middle path. She searched for Tao and the life of self-discipline in the middle path, and arrived at the stage of neutralization. With her self-discipline, she amounted to a rank of Taoist in her life, who she pursued. She was interested in Tao as well as Neo-Confucianism. And she practiced the wisdom of middle path to her life.
    Kang Jeongildang lived her life by keeping to the middle way without being one-sided as the life in Golden Mean. In Golden Mean, three virtues are to respect other people, to understand other person’s positions, and to love the people like his children. She made three virtues her motto, and cultivated them rightly. Though being a woman, she fulfilled the way of novel man and the wisdom of middle way.
    Kang Jeongildang knew what the states of mind of a true classical scholar and a noble man were, and searched for fundamental elements of her learning and her self-discipline. She got wisdom of a life after reading Jasa’s Golden Mean, and practiced true virtue. And she tried to be a morally complete woman by behaving correctly without being biased in everything. We can practice this middle way as we possess wisdom, benevolence and valor. She suggested wisdom as children and adults liked learning, benevolence as they practiced their knowledge, and valor as they felt shame when they did not perform wisdom and benevolence after learning them. To know and practice wisdom, benevolence and valor is her self-discipline. She searched for a human life kept the middle way by performing wisdom, benevolence and val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