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25 참전자 혹은 타락자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이청준, 「병신과 머저리」론 (The suffering of the people who live with the Korean war veterans, or the corruptor ―A study of Yi Cheong-Joon's novel A Fool and a Stupi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09
29P 미리보기
6‧25 참전자 혹은 타락자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이청준, 「병신과 머저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79호 / 339 ~ 367페이지
    · 저자명 : 선민서

    초록

    프로이트는 대상의 죽음만이 아니라 대상의 타락 역시 ‘대상상실’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다수의 6․25 참전자들은 누군가를 살해했고,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은 타락자의 곁에서, 타락 이전의 그를 상실한 채로 살아가게 되었다. 분단문학은 지난한 대상상실의 서사로도 독해될 수 있다.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는 친형이 살인행위에 가담했을지도 모를 타락자로 변모해버린 동생의 이야기다. 동생의 병리적 고통에서 6·25와 분단이 야기한 고통의 보편적인 형태가 드러난다. 모든 전쟁은 가까운 지인을 타락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기 때문이다.
    「병신과 머저리」에서 동생인 ‘나’는 형의 타락으로 인해 고통 받는다. 온순한 성품의 소유자였던 형이 살인자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나’는 우울증을 앓기 시작한다. 상실된 대상인 형을 마음으로부터 떠나보내지 못한 채, 형에 대한 애증 병존의 양가감정을 느끼고, 일상생활의 차질을 겪으며, 비정상적 행동을 일삼는다. ‘나’ 는 자신의 고통에 환부가 없다고 말하지만, ‘나’의 고통에는 대상상실이라는 명백한 이유가 있다. 그러나 혜인은 6·25전상자인 형과 ‘나’를 비교하며 ‘나’에게는 고통의 이유가 없다고 한다. 이는 6·25 참전자를 영웅화하며 그들의 타락상에 대한 증언을 은폐시켰던 당대 담론과 다르지 않다.
    ‘나’의 멜랑콜리의 근원에는 참전자를 타락자로 인정하지 않은 채 영웅시하는 사회 담론이 있었다. 참전자를 영웅화하는 분위기는 1964년의 베트남전쟁 파병 이후 가속화되었다. 1966년작 「병신과 머저리」는 1960년대 중반의 군사주의 분위기 속에서 태동했다. 무수한 타락자들과 함께 살아가야 했던 이들의 고통은 징후와 증상으로 드러난다. 전쟁 트라우마는 참전자들만이 아니라 그들의 타락을 묵인하며 살아가야 했던 이들에게도 엄연히 존재했다. 군사주의가 초래한 참전자 영웅화를 경계하며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는 참전자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고통을 가시화했다.

    영어초록

    Freud said that not only the subject's death, but also the subject's depravity, results in object loss. Many of the Korean War veterans killed someone, and many people lived alongside the corruptor, losing him before the corruption. Polarized literature can also be read as a narrative of a past loss of object. Yi Cheong-Joon's A Fool and a Stupid is the story of a younger brother who has transformed into a corrupt brother who may have been involved in murder. In his brother's pathological pain, the universal form of pain caused by the Korean War and division is revealed. This is because all wars are a possibility to make a close acquaintance a corrupter.
    In A Fool and a Stupid, ‘I’ suffers from his brother's corruption.
    When he hears that his older brother, who had a meek personality, became a murderer, ‘I’ began to suffer from depression. Without letting the lost elder brother away from his heart, he feels the ambivalence of love and hatred toward his elder brother, suffers a setback in daily life, and makes abnormal behaviors. ‘I’ said that there was no disease in his pain, but there was an obvious reason for the pain of ‘I’. However, Hye-In compares ‘I’ with his brother, who was in the Korean War, and says that ‘I’ have no reason for pain.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discourse of the time that made the Korean War veterans a hero and concealed their testimony about their corruption.
    At the root of the melancholy of ‘I’, there was a social discourse that regarded the veterans as heroic without recognizing them as corruptors.
    The atmosphere of heroizing veterans accelerated after the dispatch of the Vietnam War in 1964. Published in 1966, A Fool and a Stupid was born in the mid-1960s militarism. The suffering of those who had to live with countless corrupters is manifested by signs and symptoms. The trauma of war existed not only for the veterans but also for those who had to tolerate their corruption. Being wary of the heroization of veterans caused by militarism, Yi Cheong-Joon's A Fool and a Stupid visualized the suffering of those who had to live with the veter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