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살문양을 활용한 옻칠 브로치 제작 연구 - 전자파 차단 기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Lacquered Brooch Using the Lattice Pattern – Focusing 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08
12P 미리보기
창살문양을 활용한 옻칠 브로치 제작 연구 - 전자파 차단 기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7권 / 3호 / 193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영민, 문선영

    초록

    연구배경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사물 인터넷과 무선 통신 영역의 경계가 붕괴되며 전자기기의 활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활 속에서의 전자파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극저주파 자기장과 휴대전화 전자파를 암 발생등급 2B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전자파가 신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확인되었고, 국내외의 관련 규제가 세분화되어 차단 기술의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에 전자파 차단 제품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이에 전자파 차단의 효과가 증명된 천연 소재인 옻을 활용한 브로치를 제작하며 전통 한국 창살문양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작품 제작에서 전자파 차단 효과와 장식성 부여를 위한 옻칠의 정의, 표현기법, 기능적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한국의 전통 창살문양의 정의, 구조에 대한 이론을 조사하여 디자인으로 접목한다. 다음으로 옻칠 장신구의 사례를 통해 전자파 차단을 위한 본 연구의 차별성을 확인하고, 창살문양을 응용한 작품을 살펴보며 디자인적 가치를 증명한다. 전자파 차단 기능의 옻칠 작품을 브로치 형태로 디자인하고, 옻칠의 도포 면적을 넓혀 차별성 있는 작품을 제작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전자파가 신체에 장시간 노출 될 경우 신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확인하여 전자파 차단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둘째, 전자파 차단을 목적으로 옻칠 활용이 적합한지 증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차단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브로치 디자인으로 창살문양을 활용하기 위해 정의 및 구조와 조형을 조사하였다. 창살이 가진 선의 구성, 기하학적 조형미, 자연의 요소가 디자인의 요소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단순⸱변형하여 디자인을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옻칠 장신구의 선행 사례를 조사하여 옻칠 도포 면적을 살펴보았다. 전자파 차단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옻칠의 넓은 면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본 연구의 작품과 차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한국 전통 기법인 옻칠의 심미성과 전자파 차단 기능성을 부여하고, 디자인 요소로 전통 창살문양을 응용한 브로치를 제작한다. 일상 속에서 노출된 전자파를 착용함으로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장신구를 제작⸱개발하는 것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e boundary between Io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field is collapsed by industrial development. Hence, the frequency of using electronic devices and the exposure to electronic waves in daily life are increasing.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affiliated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ed the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mobile phone into 2B of cancer occurrence grade. Similarly, the harmfulness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human body has been verified. As relevant regulations are subdivided at home and overseas, and the R&D of shielding technology is more accelerated, the necessity of products equipped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has been recognized. Thus, this study produces a brooch that uses lacquer, which is a natural material with verified effects on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utilizes the Korean traditional lattice pattern as a design element.
    Methods For presenting the decorativeness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 to the production of work, this study considers the definition of applying lacquer, expression techniqu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researches the definition of Korean traditional lattice pattern and theories of structure, and then combines them with the design. Next, through the cases of lacquered jewelry, this study verifies the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and then verifies the value of design by examining the works applying the lattice pattern. Designing a lacquered brooch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this study produces a differentiated product by expanding the area applied with lacquer.
    Result First, the necessity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was verified by examining the harmfulness on the human body when exposed to electromagnetic waves for a long time. Second, the effects on shielding were verified by considering the relevant preceding studies to verify if the utilization of lacquer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Third, the definition, structure, and formativeness were researched to utilize the lattice pattern for the design of a brooch. The composition of lines, geometric beauty of the sculpture, and elements of nature shown in lattice, seemed to be suitable as a design element. Thus, the design was composed by simplifying and transforming them. Fourth, the area applied with lacquer was examined by researching the preceding cases of lacquered jewelry. They did not meet the condition of wide area for lacquer to utilize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Therefore, the differentiation of the work in this study has been verifi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aesthetics of applying lacquer,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technique and the functionality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and produces a brooch applying the traditional lattice pattern as a design element.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producing/developing the functional jewelry that could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we are exposed to in dail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