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려동물의 살처분 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imal Killing System of Companion Animals - Centered on Korea and Jap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반려동물의 살처분 제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70권 / 87 ~ 119페이지
    · 저자명 : 박만평

    초록

    최근 한국에서 인간은 생명이 존재하는 동물을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래서 현재 동물의 법적 지위는 기존의 동물의 법적 지위와 비교해보면 상당히 강화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동물의 법적지위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 즉 ➀인간이 동물을 ‘단순한 물건으로 인식하고 지배’ 하는 관계로 정립하는가, ➁인간이 동물을 단순한 물건이 아닌 ‘생명이 있는 존재와 ➂반려로 인식하고 보호’하는 관계로 정립하는가, ➃인간이 동물을 ‘인간과 동등한 주체로 인식하고 대우하는관계’로 정립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관계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유형’에 따라 한국에서는 동물의 보호에 관한 법을 제정하였고, 더 나아가 민법상 동물이 단순한 물건의 지위가 아닌 생명이 존재하는 제3의 법적 지위까지 인정하려는 상황까지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알 수 있듯이 동물의 법적 지위는 좀 더강화되는 측면으로 변화되었는데, 무엇보다 반려동물의 지위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이처럼 동물 내지 반려동물의 법적 지위가 강화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아직도 여전히 인간의 먹거리를 위한 동물의 ‘도축(屠畜)’이 이루어지고 있고, 더 나아가 가축전염병등이 발생하게 되면 그 전염병의 예방을 위한 동물의 ‘살처분(殺處分)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인간은 생태계 조절을 위하여 야생동물의 수렵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정 속에서 인간의 먹거리와 전염병예방이라는 명분으로 인간이 동물을 살생하는 것은 어느 정도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가축전염병 예방법 등에는 최근 반려동물의 지위가 향상된 측면을 간과한 채 반려동물과 가축을 동일하게 취급하여 살처분을 진행하는 점이 있고, 이러한 상황은일본에서도 동일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점을 개선할 필요가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한·일 양국의 살처분의 ‘의의’ ‘현황’, ‘법적 성격’, ‘법적 근거’를 분석한 후 그 대상을 ‘반려동물’과 ‘그 이외의 동물’ 로 구분해야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Korea makes efforts to protect animals alive. So, now, the current legal status of animals got reinforced than that of the existing animals. But, the legal status of animals gets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s are put into triangular position; ➀ Do humans put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s into triangular position as the relationship of ‘recognizing as simple stuffs and dominating animals’? ➁Does man establish an animal not as a mere object, but as a relationship between "being with life and ➂recognizing and protecting as a companion"?, and ➃ Do humans put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s into triangular position as the relationship of ‘recognizing as the same subject as humans and treating animals so?’ Of the three relationships, Korea selected the second type, and enaceted the laws related to animal protection. Further, the status is developed that Korea tries to recognize animals to be the third legal status as creatures, rather than simple stuffs in view of civil law. As shown above, the legal status of animal got reinforced. Most of all, the status of companion animals got reinforced. Though the legal status of animals or companion animals. got reinforced, Korea makes progress of butchery to prepare food as ever. Further, Koreans kill animals to prevent contagious disease when livestock contagious disease occurs. Meanwhile, humans are also hunting wild animals to control the ecosystem.
    In the process, it may be admitted to kill animals in order to prepare food and prevent contagious disease to some degree. But some people treat companion animals the same as the other animals, and kill them, though recently the status of companion animals got reinforced, based on laws about livestock contagious disease prevention. Such a situation is developed in Japan the sam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such a situation. In order to improve such a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legal trait’, and ‘legal basis’ of the two counties, Korea and Japan.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 discriminate the objects into ‘companion aminal’\ and ‘non-companion anim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