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十住毘婆沙論에 나타난 재가보살과 출가보살의 계 연구 (A Study on the Śīla of the Grhastha-bodhisattva and Pravarjita-bodhisattva be exposed on the Daśabhūmikavibhās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08.08
34P 미리보기
十住毘婆沙論에 나타난 재가보살과 출가보살의 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25호 / 67 ~ 100페이지
    · 저자명 : 문을식

    초록

    이 글은 용수의 저술로 알려진 십주비바사론에 나타난 재가보살과 출가보살의 계에 대한 연구이다.
    재가보살은 삼보에 귀의한 뒤에 5계를 수지하고, 그리고 재일에는 8재계를 수지하면 된다. 이것은 형식적인 면에서는 부파교단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특히 삼귀의에서 ‘귀의승’과 5계에서 ‘불사음계’와 ‘불음주계’에서 두드러진다. 그러나 10선계를 총상계로 한다는 점에서 보면 출가보살의 계와 성문승가의 계에는 차이가 있다. 출가보살의 계와 성문승가의 계 사이의 큰 차이점은 대승의 출가보살의 계는 10선계를 중심으로 한다는 것이다. 또 십주비바사론의 ‘호계품’에서 계를 범부계, 보살계, 성문계, 벽지불계, 무상불계의 5가지로 구별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가보살의 계는 성문승가의 비구계와 같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늘 이타의 정신에 바탕을 두고 모든 중생을 구제하려는 결심에 입각하여 계를 수지한다는 점에 큰 차이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quire the meaning about person who is staying at home(grhastha) and leaving home(pravarjita), bodhisattva of the staying at home and leaving home in early mahāyana buddhism. 1. śīla in bodhisattva staying at home: They must be devote themselves to three jewels(ratna) and receive and hold five good conduct(pañca-śīla), and eight purification. We can find a difference between disciple group(śrāvaka samgha) and buddhist saint group(mahāyana-gana), specially there are a sharp difference in which devote oneself to samgha, and a moral sexual conduct and nondrinking conduct in five good conduct. And then because of all śīla, that is śīla of three jewel, five, eight purification and ten good deeds in bodhisattva staying at home base on altruism, they even embrace beggar(bhiksu) who act bad deeds. We consider all bodhisattva leaving home as well as staying at home, regard ten good deeds as method of fundamental practice. 2. śīla in bodhisattva leaving home: We can see in common feature in śīla between śrāvaka samgha and mahāyana gana which they stay vacant place(āranya), train oneself in twelve austerities, and live as a beggar.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śīla of śrāvaka samgha and bodhisattva leaving home in a point of view which we regard ten good deeds(daśa kuśala śīla) as total śīla.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m in point of view which focus on ten good deeds in śīla of bodhisattva leaving home. The śīla in bodhisattva leaving home also is not identical with that of śrāvaka samgha, because speak of śīla separately such as bodhisattva śīla, śrāvaka śīla, sattva śīla. Moreover because of it base on altruism,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which they receive and hold śīla in order to deliver everybody el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