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 (The Study on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06
28P 미리보기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45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강순애

    초록

    이 글은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香山三體法」의 편찬과 간행, 서지적 특징, 구성 및 내용,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과 일본 蓬左文庫 소장의 명종 20년(1563) 번각본과의 비교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香山三體法」은 국내외에서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으로는 유일한 책이다. 일본 蓬左文庫 소장본에는 세종 27년(1445)에 쓴 안평대군의 발문과 명종 20년(1565)에 쓴 김덕룡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기존의 학자들이 金德龍의 발문에 더 비중을 두어 책의 최초 간행을 명종 20년(1565)으로 보는 학설을 바로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게 되었다.
    이 자료는 또한 기존에 주장해왔던 중종 10년(1515)의 갑인자 보주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책은 세종 27년(1445)경에 인출된 초주갑인자 활자가 사용되고 있는데, 오래 사용해서 획이 아주 가늘고 모양이 휘어 있으며, 중심이 기울어 진 것들이 있다.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보자는 활자의 굵기와 크기가 일정하고 매우 정연하다. 기필되는 부분과 삐침 등이 매우 부드럽고 정연한 것을 볼 수 있다. 목활자 보자들은 활자의 굵기와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동일한 활자라 하더라도 같은 글자 모양이 없고 새김이 매우 거칠어서 확대하여 보면 칼자국이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명종 20년(1563)의 번각본에는 이 목활자 보자와 같은 형태의 글자가 그대로 나타나고 있어 중종 10년(1515)경의 번각임을 알 수 있다.
    일본 봉좌문고에 소장된 번각본과 비교해 본 결과 원본과 똑같이 간행된 경우가 아닌 것이 나타나고 있다.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은 획을 쓰는 습관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뜻이 비슷한 다른 글자를 사용하고 있는 예도 있었다. 특히 뜻이 다른 글자가 사용된 경우는 내용을 교감하여 일부 글자는 정정하여 번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서지학분야, 활자관련분야, 한문학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conduct a bibliographic study of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by reviewing in the order of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its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its composition and content, and a comparison of the First Cast Kapinja-Type edition printed around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15) with the reprint copy in Japan's Hosa Archives(蓬左文庫) which was made in the 20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1563).
    Hyangsansamchebeop is the only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available in or outside the country. The copy owned by Hosa Archives in Japan has an epilogue written by Anpyeongdaegun Yi Yong(李瑢) in the 27th year of King Sejong(1445) as well as an epilogue by Kim Deok-Yong(金德龍) written in the 20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1565). In this research, the previous theory that this book had been printed in 1565, based on the emphasis on the epilogue by Kim Deok-Yong, was corrected, and the possibilities for further research could open.
    This book supports the existing theory that some of Gapinja-Type were supplementarily cast in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15). In this book, used were the First Cast Gapinja-Types created around the 2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1445). Due to long use, the strokes of many characters are slender and arched, and some are slanted in the middle. In contrast, the supplementary types of the book have a consistent thickness and size. The beginning of the letters and their strokes are smooth and orderly. Wooden supplementary types tend to have inconsistent thickness and size. Even the same letters have different shapes, and with rough carvings, incisions look clear when magnified. Since the reprint copy made in the 20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1563) exhibits the same letters as the wooden supplement types, it is certainly the reprint of the one made in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15).
    A comparison with the reprint copy of Hosa Archives in Japan shows that it was not published at the same time as the original. A few characteristic differences can be spotted, such as how the strokes are made and how different letters are used for similar meanings in some cases. In particular, some of the letters with different meanings were proofread, corrected, and then repri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most fundamental research in bibliography, typology-related fields, and Korean class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