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산성 지명의 분포와 변천 : 北漢誌 수록 지명을 중심으로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Place Names in Bukhansanseong : Focusing on the Place Names in Bukhanj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7.05
29P 미리보기
북한산성 지명의 분포와 변천 : 北漢誌 수록 지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역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23권 / 2호 / 325 ~ 353페이지
    · 저자명 : 김순배

    초록

    본 글의 목적은 북한산성 안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지리적 분포와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지명 변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존하는 지명 자료 중 가장 많은 북한산성 지명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 평가받는 북한지(北漢誌) (1745)를 중심으로 시대별 지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후부 지명소에 따라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으로 나누어 지명의 분포 및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북한산’ 등의 주요 지명들을 선정하여 지명의 의미와 그 변천 양상을 전부 지명소를 중심으로 기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 활발하게 통용되던 북한산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는 삼각산, 조선시대에는 다시 ‘북한산’ 및 ‘북산’ 이란 지명으로 적극적으로 사용되었고, 1711년 북한산성이 축조되면서 북한산이란 지명 통용이 공식화되면서 지명 언중들에 의해 활발히 인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북한지 에 수록된 지명들이 자연 지명 중 산지와 하천 지형을 가리키는 지명들과 이러한 지리적 환경에 자리 잡고 있는산성 관련 각종 인공 시설물 명칭들, 특히 이 책을 편찬한 승려 성능을 통해 동일시된 불교적 정체성과 이데올로기를 담은 불교 관련 지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cultural, historical,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lace names in the area of Bukhansanseong (Fortress), and to basically suggest the several features which have happened throughout the process of toponymic changes.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 collected the chronological toponymic dat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Bukhanji (Record of Bukhansanseong, 1745) in which the most existing place names related to Bukhansanseong are recorded. In the meantime, I proposed the character of distributions and types of the physical, human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rear-part of toponymic morpheme, i.e. the generic name. Moreover, selecting the main place names such as ‘Bukhansan’, etc., I analyzed some features on the toponymic meanings and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fore-part of toponymic morpheme, the specific name. Consequently, I identified the facts that the name of ‘Bukhansan’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Samgaksan’ in the Goryeo Dynasty, and again ‘Bukhansan’ or ‘Buksan’ in the Joseon Dynasty era had been primarily called. And then the place name, ‘Bukhansan’ has been officially named until now since constructing the Bukhansanseong Fortress in 1711. Meanwhile, the physical place names related to mountainous and fluvial topography, the place names of artificial facilities such as a mountain fortress on this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especially Buddhistic place names which was named and identified by Buddhist monk, Seongneung who wrote the Bukhanji, representing the Buddhistic identity and ideology, form a large majority of the place names within Bukhansans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역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