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지와 고지도로 살펴본 고군산군도의 역사경관과 명소 인식 (The Historical Landscape and Recognition of Attractions in the Gogunsan Archipelago through the Geographical Texts and Old Map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04
36P 미리보기
지지와 고지도로 살펴본 고군산군도의 역사경관과 명소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역사지리 / 33권 / 1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정우진, 김일림

    초록

    본 연구는 고군산의 지역 정체성을 주도하는 명소를 대상으로 경관 인식의 논리와 인문경관적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조선 전기까지 인식된 고군산의 지리정보는 배를 감출 곳이 있어 조운선이 순풍을 기다린 다거나, 무덤에서 금은으로 된 그릇이 도굴되었다는 내용에 국한되었다. 1621년 군산도에 고군산진이 설치되어 해방(海防)이 가능해지면서 황금어장으로 몰려든 산업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는 고군산 지역에 새로운 장소성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고군산도의 발전과 함께 형성된 문화경관의 명소 인식은 대동지지, 호남진지와 일제시기 동아일보·도서순례 등의 자료에 잘 나타나 있었다. 망주봉은 많은 유배인이 고군산도에 들어옴에 따라 충절지사의 지형으로 상징되었고, 선유봉은 무녀도, 삼도와 더불어 선계의 영역에 비의되었다. 이와 더불어 고군산을 둘러친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십이봉은 무산십이봉으로 이름을 바꿔 부름으로써 신선이 사는 이상 장소로 전화되었다. 장자봉은 장자할매 설화의 현장으로 조명되면서 횡경도의 할배바위와 지리적 친연성이 부각된다. 또한 최치원의 사적인 월영봉은 고군산도에서 금도치굴의 경관인식 논리로 발전했는데, 이상을 통해 고군산 지역에는 경물 분포에 따른 다원적 의미구성이 각각의 명소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gic of landscape perception and the elements of humanities and landscapes which are regarded as landmarks that lead the regional identity of Gogunsan area.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Gogunsan area, which had been recognized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limited to the content that there was a place to hide the ship so that the ship was waiting for a good wind or that gold ware and silverware were stolen from the tomb. As Gogunsanjin Garrison was established on Gunsando Island in 1621 and damage from the sea was prevented, the place saw the industrial population that flocked to the rich fishing grounds rapidly increase. That was how a new place was formed in the Gogunsando are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Gogunsand Island, the recogni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as a tourist attraction was formed, which can be seen in the sources such as Daedongjiji, Honamjinji, and the Dong-A Ilbo and Doseosunre (Island Pilgrim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many exiles entered Gogunsando Island, Mangjubong Peak was symbolized as the topography of a man of loyalty. And Seonyubong Peak became an area of the realm of the transcendents along with Mugnyeodo and Samdo Islads. In addition, Twelve Peaks, which acts as a breakwater around Gogunsan area, was transformed into an “ideal place,” where heavenly hermits live by changing its name to Twelve Peaks of Musan. As Jangjabong Peak is illuminated as the site of the story of Jangja Grandma, the geographical affinity with Grandpa Rock in Hoenggyeongdo Island is highlighted. In addition, Wolyeongbong Peak, the historic site of Choi Chi-won, developed into the logic of the Golden Pig Cave of Gogunsando Island. As shown by the above mentioned, it is found that the pluralistic composition of meaning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scenic objects has formed each site as a landma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역사지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