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후기 忠州城의 신지견 -충주 계족산 城址를 중심으로- (A New View of Chungjuseong [Chungju Sanseo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Focused on the New Discovery of Gyejoksan Fortress Site in Chungju-)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3.08
24P 미리보기
고려 후기 忠州城의 신지견 -충주 계족산 城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26호 / 125 ~ 148페이지
    · 저자명 : 백종오

    초록

    이 글은 고려‧몽골전쟁(1231~1273)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전승의 현장인 忠州城[忠州山城] 의 신발견 사례를 통해 위치 비정의 정합성을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충주성은 남산성설, 대림산성설, 충주읍성설, 덕주산성설 등이 대두되었다. 그중에서州城은 충주읍성, 山城은 대림산성이 설득력을 얻어왔다. 하지만 山城入保는 기존의 양산성, 양근성, 천룡산성, 입암산성 등과 같이 고험처의 산악산성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부합하는 충주 계족산 城址는 충주성[충주산성]으로 정합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방증하였다. 그간 계족산 城址는 조선시대 심항현영액의 연장선상에서 성벽을 파악하다보니, 여몽전쟁시 충주산성과는 무관하게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곳 계족산(현 계명산)은 충주의 주산으로 험준한 산악산성 입지와 함께 충주 邑治를 향한 主 防禦方向, 고려시대 축성술과 출토유물 등으로 볼 때 忠州山城 防護別監 金允侯와 관련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유적으로 판단되었다. 즉 몽골 1차(1231), 5차(1253), 6차(1256) 침입 등의 전투가 벌어졌으며 그 사이 금당협(1253), 다인철소(1254), 대원령(1255), 박달현(1258) 전투 등도 이곳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몽전쟁에서 몽골의 전투 방식은 현지 投蒙勢力들을 앞세우는 전법을 구사했다. 이것은 실제守城戰에 있어서 내부의 정보를 그대로 노출시킨다는 취약성을 가지게 된다. 다시말해 고려군이또 다른 고려군+몽골군을 상대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고려의 병제와 운용, 축성과 시설, 전술 및 전략 등 고려군의 내밀한 정보까지 몽골군이 손쉽게 파악한 상태에서 항복 권유와공성전을 되풀이하였던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략의 비대칭을 고려할 때, 1253년 충주산성 전투는 鼎足之勢 山城과 고험처, 유격전을 통해 극복 및 만회의 기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계족산 城址의 윤곽이 어느 정도 파악되었다. 그만큼 앞으로의 고려 후기 충주성[충주산성]의 위치 비정과 그 역사적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활력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아울러 계족산 城址의 학술조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전체적인 현황과 구조, 축성술 등이 규명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istency of the location of Chungjuseong [meaning Chungju Fortress and in other words, Chungju Sanseong meaning Chungju Mountain Fortress], the site of one of the most dramatic battles of the Goryeo-Mongol War(1231-1273), through the perspective of a new discovery.
    Various hypotheses related to Chungjuseong Fortress have emerged so far, such as Nam Sanseong, Daerim Sanseong, Chungju Eupseong, Deokju Sanseong, etc. Among them, Chungju Eupseong as the fortress of the province and Daerim Sanseong as the mountain fortress have been regarded as persuasive. However, serving as a mountain fortress for defense and protection was done at high and rugged mountain fortresses such as Yang sanseong, Yanggeunseong, Cheonryong Sanseong, and Ibam Sanseong, which are recorded in the literature. In line with this, the fortress site of Gyejoksan Mountain in Chungju proved to have conformity with Chungju Fortress [Chungju Sanseong]. Until now, the fortress site of Gyeyoksan Mountain has been recognized as an extension of the territorial range of Simhanghyeon in the Joseon Dynasty. Thus, the walls were thought to be not related to Chungju Sanseong during the Goryeo-Mongol War. However, Mt. Gyejoksan (now Mt. Gyemyungsan) is the main mountain of Chungju and shows a rugged mountainous position for a fortress site. In addition, based on the main defense direction toward Chungju Town,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Goryeo Dynasty, and excavated artifacts, the site was judged to be highly likely to be related to Geum Yun-hu, who was a defense official of Chungju Sanseong. In other words, it was the site of battles such as the 1st(1231),5th(1253), and6th (1256) Mongol invasions. In between, the battles of Geumdanggyeop (1253), Daincheolso (1254), Daewonryeong (1255), and Parkdalhyeon (1258) are also believed to have occurred around this place.
    The Mongolian method of warfare in the Goryeo-Mongol War was to use local forces that had surrendered to the Mongols. This has the vulnerability of exposing internal information in the battles to defense the capital. In other words, a Goryeo army had to fight against another Goryeo people combined with Mongolian army. The Battle of Chungju Sanseong (1253) had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opportunity to overcome and recover the asymmetry of this strategy through tripod-shaped terrain site, the high and rugged location, and the guerrilla warfare.
    This is the first time the outline of the fortress site of Gyejoksan Mountain has been identified. We hope that it will shed new light on the location of Chungjuseong [Chungju Sanseo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It is also hoped that academic research on the Gyeyoksan fortress site will be conducted in a systematic manner so that the overall status, structure, and consecration techniques of the fortress can be clar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