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성에서 발견된 石壁建物의 성격에 대한 試考 (A Study on the StoneWall Building in Mountain Fortre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02
29P 미리보기
산성에서 발견된 石壁建物의 성격에 대한 試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1권 / 42호 / 145 ~ 173페이지
    · 저자명 : 서정석

    초록

    최근들어 산성에서는 석벽건물(石壁建物)이 발견되는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석벽건물이란 말 그대로 벽면을 흙이 아닌 석재로 축조한 건물을 뜻한다. 이러한 건물이 발견된 산성으로는 양주 대모산성, 연기 운주산성, 아산 학성산성, 홍성 석성산성, 공주 공산성, 부여 부소산성, 광양 마로산성, 전주 동고산성, 광주 무진고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석벽건물은 벽면을 석재로 축조했다는 사실 이외에 기둥이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더구나 건물 안에는 난방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서 일반 거주공간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부여 부소산성이나 광양 마로산성에서 곡식이 다량으로 출토된 것으로 볼 때 곡식을 저장하였던 창고로 추정된다. 아울러 그 축조시기는 주변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로 판단된다.
    그런데 이러한 석벽건물은 모두가 그 지역의 군현성(郡縣城)으로 비정되는 산성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각 군현(郡縣)에서 거두었던 조세미(租稅米)를 보관하였던 창고로 추정된다. 그런 점에서 석벽건물은 통일신라시대 군현성이 갖고 있었던 행정적 기능의 일단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자료라고 생각된다.
    한편, 지금까지 석벽건물은 백제 고지(故地)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영남지역에서 발견되지 않는 것은 성벽과 성문에 대한 조사에 치중하고 성내의 건물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there has risen discovery of Stone Wall Building(石壁建物) in mountain fortress sites. The Stone Wall Building is literally a building walled with stone blocks, not with clay. This type of buildings have been found at the Daemosanseong (大母山城)Fortress in Yangju, Unjusanseong(雲住山城) Fortress in Yeonki, Hakseongsanseong(鶴城山城) Fortress in Asan, Seokseongsanseong(石城山城) Fortress in Hongseong, Gongsanseong(公山城) Fotress in Gongju, Busosanseong(扶蘇山城) Fortress in Buyeo,Marosanseong(馬老山城) Fortress in Gwangyang, Donggosanseong(東固山城) Fortress in Jeonju andMujingoseong(武珍古城) Fortress in Gwangju.
    The Stone Wall Building is characterized as hidden pillars, and it had no heating equipments inside. Besides, there have been found a lot of crops inside the building in the Busosanseong and Marosanseong Fortress. These evidences indicate the building was not used for residential purpose but a crop storage. The construction time of these buildings is estimated in Unified Silla period from accompanied artifacts.
    The fortresses which have the Stone Wall Building are typically unhyeonseong(郡縣城) Fortress. Therefore, this building is considered as a warehouse where taxational crops collected in each Gunhyeon(郡縣) were stored. This shows other administrative function of the Gunhyeonseong in the era of Unified Silla.
    Meanwhile, the buildings have been found only in the previous Baekje territory. The reason why we could not find them in the Silla territory is that archaeological excavation has been focused on walls and gates of fortresses, but investigation into inner building sites has been neglig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