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響山 李晩燾, ‘直’의 사상과 衛正斥邪論 (Hyangsan Yi, Man-do’s Thought of Jik(直)and The Uijeong-Cheoksa Theo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12
31P 미리보기
響山 李晩燾, ‘直’의 사상과 衛正斥邪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65권 / 65호 / 85 ~ 115페이지
    · 저자명 : 추제협

    초록

    이 글은 이만도의 철학사상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그동안의 연구가 그의 순국과 절의정신에 국한되어 있었던 터라 그 사상적 동인에는 소홀한 면이 없지 않았다. 물론 단편적인 문헌 자료로 인해 논의의 한계가 있긴 하지만 試論적으로라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만도는 퇴계학을 가학으로 계승하면서도 그 배움을 실천하는 데에 더욱 분발했다. 그 실천에는 ‘直’, 몸이 곧아야 하듯 마음도 곧게 해야 한다는 깨달음이 자리하며, 이는 마음공부의 중요성으로 연결된다. 그는 이황의 마음공부를 그대로 고수하여 감정이 발현되기 전인 마음 상태를 경으로 보존하는 ‘敬存’을 중요한 공부법으로 생각했다. 늘 마음의 집중과 각성 상태를 유지하는 데에 노력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그의 위정척사론에서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동학당을 비롯해 당시에 연이은 국가적 혼란은 ‘邪術’로 인해 선왕의 오랜 법을 망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진단하여 ‘正學’을 바로 세움으로써 회복될 수 있다고 했다. 여기서 정학은 朱子學 내지 退溪學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인간의 마음에 도덕성과 실천력이 되살아나 세상에 구현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imed at reviewing the philosophy ideas of Yi, Man-do. His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his dieting for one's country and faithful mind, so he has been negligent in his ideological causes. Of course, there is a limit to the discussion due to the fragmentary literature, but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view it as an introductory. Yi, Man-do inherited Toegye's philosophy as a sadist, but worked harder to practice the learning. There is a realization in the practice that the mind must be straight as the body should be, which leads to the importance of mind study. He thought of ‘Self-Cultivation of Ching-Preservation’ as an important study method, which preserves the state of mind before emotion is revealed by sticking to the mind study of Yi and Huang. He always tried to keep his mind focused and awake. These ideas were also projected in his The Uijeong-Cheoksa Theory. The Donghak Group and other successive national turmoil at the time came from ruining the long-standing law of the late king due to ‘Sorcery’ and said it could be recovered by setting ‘Orthodoxy’ right. The word “Orthodoxy” here means Neo-Confucianism or Toegye's philosophy, which eventually hoped that morality and practice would be revived in the human mind and be implemented in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